- 영문명
- The Reliability of the Korean-Automatic Language Analysis System (K-ALAS): A Computerized Language Analysis System for Language Assess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이윤경 김유섭 임수아 오병두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873~88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언어표본분석은 언어재활사에게 권장되는 필수적인 언어평가방법 중 하나이나 시간적 제약과 분석의 어려움으로 인해 임상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어 오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컴퓨터 자동언어분석 시스템인 K-ALAS의 신뢰도를 확인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2-6세 영유아 언어표본 50개를 K-ALAS와 전문가가 분석하고 언어측정의 기본 단위가 되는 어절, 단어, 형태소에 대해 분석 일치도를 측정하였으며, K-ALAS와 전문가가 측정한 구문(MLUe, MLUw, MLUm), 문법형태소(NTJ, NTE, NDJ, NDE), 어휘의미(NTW, NDW, TTR) 측정치에 대해 t-test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K-ALAS와 전문가 간 어절, 단어, 형태소 분석 일치도는 97.87-99.88%로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K-ALAS와 전문가가 측정한 구문, 문법형태소, 어휘의미 측정치 모두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r=.972-1.000의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를 통해 K-ALAS가 매우 정확하게 언어표본을 분석하고 주요 언어측정치를 측정해 주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언어 진단 및 중재와 관련해 K-ALAS의 임상적 활용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Although language sample analysis is essential for language evaluation, it is not widely conducted due to time constraints and difficulties in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Korean-Automatic Language System (K-ALAS), which was developed to support language sample analysis. Methods: 50 language samples of young children aged 2 to 6 were analyzed by K-ALAS and a language analysis expert. The percentage agreement of the analysis results between K-ALAS and the expert on Eojeol, words, and morpheme, which are the basic units of language measurement, were calculated, and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the main language measures (MLUe, MLUw, MLUm, NTJ, NTE, NDJ, NDE, NTW, NDW, TTR) measured by K-ALAS and the expert. Results: The percentage agreement of the eogeol, word, and morpheme analysis between K-ALAS and the expert, was found to be very high at 97.87-99.88%, and the t-test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ll language measures measured by K-ALAS and the expert, and the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was also very high with r =.972-1.000.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K-ALAS analyze language samples and measures the main language measures very accurate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clinical use of K-ALAS in relation to language diagnosis and intervention.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