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Language and Cognitive Skills on Narrative Retelling for Preschoolers with and without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예지 임동선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8. no.4, 703~7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단순언어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이야기 회상 능력을 검토하고, 각 아동의 이야기 회상에 미치는 언어 및 인지 능력의 영향을 탐구하고자 하였다. 방법: 5-6세 단순언어장애 아동(N=8)과 일반 아동(N=16), 총 24명의 아동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야기 회상 과제, 어휘력 검사, 구문의미 이해력 검사, 일화적 완충기 과제를 실시하였으며, 아동이 회상한 이야기는 이야기 문법으로 분석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살피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과 맨 휘트니 U검정을, 이야기 회상 능력과 언어 및 인지 능력 간의 관계를 살피기 위하여 상관분석과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단순언어장애 아동은 일반 아동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이야기 회상 능력, 표현 어휘력, 구문의미 이해력, 일화적 완충기를 보였다. 일반 아동의 이야기 회상 능력은 다른 변인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이야기 회상 능력은 일화적 완충기와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일화적 완충기가 이야기 회상 능력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변인으로 드러났다. 논의 및 결론: 이는 이야기 회상이 언어 능력뿐만 아니라 일화적 완충기와 같은 인지 능력도 요구하는 과제임을 시사한다. 후속연구에서는 이야기 회상 능력에 미치는 언어 및 인지 능력을 더욱 다양하게 탐구함으로써 이야기 회상 능력 향상을 위한 중재에 이를 고려해야 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nfirm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skills (vocabulary, sentence comprehension), cognitive skills (episodic buffer) and narrative retelling in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and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SLI). Methods: A total of 24 children aged 5 to 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cluding SLI (n=8) and TD (n=16). Participants completed a vocabulary test, sentence comprehension test, episodic buffer task, and narrative retelling task. Narratives were analyzed for macrostructure (story grammar).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used to examin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nd correlation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relationships between narrative retelling and other variables in each group. Results: The SLI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expressive vocabulary, sentence comprehension, episodic buffer, and narrative retelling skills. In the T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narrative retelling skills and other variables. Howe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revealed between narrative retelling skills and episodic buffer in the SLI group. Also, the episodic buffer significantly predicted the SLI group’s narrative retelling skills. Conclusion: These results confirmed that narrative retelling requires not just language skills but cognitive skills.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role of cognitive skills when planning and implementing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SLI.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likelihood that other language or cognitive skills have an impact on narrative skills.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