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he Digital Literacy Elements in Grade 3 and 4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 발행기관
- 대한수학교육학회
- 저자명
- 선우진 이유진 황지남
- 간행물 정보
- 『학교수학』제25권 제4호, 547~56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최근 디지털 소양은 모든 학생들이 신장해야 할 기초 소양의 하나로서 그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디지털 소양의 의미를 확인하고, 현행 초등학교 3~4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디지털 소양의 요소를 분석했다. 그 결과, 디지털 소양은 크게 디지털 기기와 소프트웨어의 활용, 디지털 정보의 활용과 생성, 디지털 의사소통과 문제해결, 디지털 윤리와 정보보호라는 네 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3~4학년군 수학 교과서에는 ‘디지털 문제해결’, ‘자료의 수집과 저장’, ‘정보의 분석과 표현’ 등의 일부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초등학교 수학에서 디지털 소양의 요소는 아직교과서의 활동으로 강조되기보다 교사용 지도서의 참고 자료나 대안적인 활동으로 구현된 경우가 많으며, ‘디지털 윤리와 정보보호’의 측면은 거의 반영되지 않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토대로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 따른 수학 교과서의 개발 과정에서 디지털 소양의 요소를 반영하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re’s been a growing emphasis on digital literacy as a fundamental skill every student should possess. In response to this trend, this study sought to define digital literacy and analyze how its elements are presented in current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for grades 3 and 4. The results identified four main domains of digital literacy: the use of digital devices and software, the utilization and creation of digital information, digital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and digital ethics and information protection. This study found that activities emphasizing “digital problem-solving,” “collecting and storing data,” and “analyzing and representing information” were prominent. However, activities related to “digital ethics and information protection” were relatively infrequ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is study provides textbook writers with implications on what to further consider in covering the digital literac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및 절차
IV. 결과 분석
V.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