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ation of the experience of daycare center teachers rights and infringement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안은정(Eun Jung Ahn)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8권 제4호, 233~24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어린이집 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른 대안을 종합적으로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현장경력 최소 5년 이상의 어린이집 교사 3인을 대상으로 각각 총3회씩 매회 1시간30분 이상 총 9회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는 과정을 거쳐 Bogdan & Biklien(1992)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반복읽기를 통해 특정단어, 어휘, 사고방식, 사건 등을 중심으로 맥락화와 범주화 및 의미를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시작 전 반구조화된 질문지를 개발하여 면담을 실시하였고 질문목록은 사전에 유아교육과 교수2인과 현장전문가인 육아종합지원센터장 3인을 대상으로 문항내용을 수정, 보완하여 반구조화된 질문목록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권리침해 경험으로는 내 아이를 위한 요구와 거침없는 표현이 가능한 부모와 반박할 권리를 허용받지 못하는 교사로 나타났으며, 어린이집 보육교사의 교권 회복을 위한 대안으로는 어린이집 교사라는 자긍심, 다양한 방법을 통한 신뢰쌓기, 아이들을 위한 제도를 바르게 이해하기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ights infringement experiences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to comprehensively explore alternativ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ducted a total of 9 in-depth interviews with 3 daycare center teachers with at least 5 years of field experience, 3 times each for at least 1 hour and 30 minutes. The interview contents were transcribed after recording, and then contextualized, categorized, and analyzed by repeated reading according to the method suggested by .Bogdan & Biklien (1992). Before the start of the study, a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was developed and interviewed, and a semi-structured question list was constructed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contents of the questions in advance for two professors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three heads of the Comprehensive Childcare Support Center, who are field exper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of violating the rights of daycare center teachers was a parent who was not allowed to demand for and express their children without hesitation and the right to refute, and it was suggested that as an alternative to restoring the teaching rights of daycare center teachers, the pride of being a daycare center teacher, building trust through various methods, and understanding the system for children correct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결론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