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Types and Level of Employability on the Graduation Semester Students of University: Focusing on A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ung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강경연(Kyoung-Yeoun Kang)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8권 제4호, 113~13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졸업학기 대학생의 고용가능성 유형과 수준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1년 10월 1일부터 11월 30일까지 충청 소재 A대학교 인문사회, 자연공학, 예체능 계열 4학년 223명의 고용가능성을 조사하였다. 2단계 군집분석을 통해 고용가능성 유형을 분류하고, 단일표본 T검정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고용가능성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졸업학기 대학생의 고용가능성 요인별 수준에 따라 4개(군집 1: 구직준비 우수형, 군집 2: 정보탐색 및 경력준비 부족형, 군집 3: 고용가능성 부족형, 군집 4: 고용가능성 및 구직목표설정 저조형)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인문사회계열은 군집 1, 자연공학계열은 군집 3, 예체능계열은 군집 2에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A대학교 졸업학기 학생들의 고용가능성 수준은 전체, 2개 영역, 9개 요인 모두에서 전국 대학생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구직준비도 요인 중 구직목표설정 수준과 구직정보탐색 수준, 고용적합능력 요인 모두에서 전공계열 간에 유의미한 수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고용가능성 증진을 위한 교육, 지원 시 고용가능성의 유형과 수준을 고려한 차별적 개입 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and level of employability on the graduation semester students of university. A survey about employability was administered to 223 seniors between Oct. 1 and Nov. 30, 2021. The employability types was analyzed through the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and employability level was analyzed through the one sample t-test, one-way ANOVA.
The results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aduation semester students' employability could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good employability, deficient information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deficient employability, poor employability and goal establishment). The humanities-social sciences majors were found to be the most numerous in cluster 1, the natural-engineering majors in cluster 3, and the arts-physical education majors in cluster 2. Second, graduation semester students' employabilit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university students nationwide in all nine areas of two dimensions. There was a significant level difference between majors in two sub-domains(Goal establishment; Information exploration) of the employment readiness and all of sub-domains of employment sui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discriminative intervention plan considering the types and level of employability in education and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employ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