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narcissism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이경미 이주리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7권 제6호, 703~728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와 관련된 변인들을 연구대상으로 메타 분석을 통해 효과크기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외 학술지 및 학위논문 총 202편을 메타 분석하였다. 자기애의 표현형을 3가지(건강한, 웅대한, 취약한)로 분류하고, 핵심 특성 변인군(부적응양육/대상관계, 취약한 자기조절 실패 변인군)과 주변 특성 변인군(기질, 성격, 부적응적, 적응 변인군)으로 분류하였다. 분석결과, 국내외에서 모든 자기애와 공통적인 상관 방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은 특권의식과 적대성이며, 이는 자기애의 공통 핵심 특성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외 아동의 자기애 관련 변인간의 관련성을 통합하고 종합적인 결론을 도출하여 자기애 형성에 중요한 시기인 아동이 건강한 자기애 발달의 경로를 자기애 표현형을 통해 접근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size of variables related to narcissism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ildren through meta- analysis. For this study, a total of 202 domestic and international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from 2000 to 2021 were meta-analyzed. The phenotypes of narcissism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healthy, grand, and vulnerable), and were classified into core trait variables (maladaptive parenting/target relationship, vulnerable self-regulation failure variables) and peripheral trait variables(temperament, personality, maladaptive, and adaptive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common correlation direction with all narcissism at home and abroad is a sense of Privilege and hostility, which are common core characteristics of narciss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integ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hildren's narcissism-related variables and draws comprehensive conclusions, and approaches the path of healthy narcissistic development of children, which is an important period for the formation of narcissism, through the narcissistic phenotyp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