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orrelation Between Adult Hypercholesterolemia, Abdominal Obesity, Hyperuricemia, and High-Sensitivity C-Reactive Protein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재중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1 No.2, 417~42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제7기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하여 성인의 고콜레스테롤혈증과 복부비만에 대한 고요산혈증 과 hs-CRP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고콜레스테롤혈증과 복부비만을 4개 그룹으로 분류하여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요산혈증과 hs-CRP의 관련성은 복부비만 그룹 OR 2.22배(CI 2.070-2.395), 두 질병 모두 그룹 OR 2.31배(95% CI 2.032-2.626)로 나타났고, 남성은 두 질병 모두 그룹 OR 2.29배(95% CI 1.911-2.748), 여성은 복부비만 그룹 OR 2.44배(95% CI 2.146-2.775)를 나타내며 성별 차이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성인의 고콜레스테롤혈증과 복부비만에서 고요산혈증과 hs-CRP는 염증반응의 예측인자로서 관련성이 높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association between hyperuricemia and hs-CRP in adults with hypercholesterolemia and abdominal obesity, utilizing data from the 7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fourgroups based on hypercholesterolemia and abdominal obesity,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association between hyperuricemia and hs-CRP wasevident in the abdominal obesity group, with an OR 2.22 (95% CI 2.070-2.395). In thegroup with both conditions, the OR was 2.31 (95% CI 2.032-2.626). Stratified by gender, both conditions showed a higher OR in males 2.29 (95% CI 1.911-2.748), while in females, the abdominal obesity group exhibited a higher OR of 2.44 (95% CI 2.146-2.775), indicating a gender-specific difference. In conclusion, hyperuricemia and hs-CRP in adults with hypercholesterolemia and abdominal obesity demonstra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suggesting their role as predictive factors for inflammatory responses.
목차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 결과
4. 논의
5. 결론
Reference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