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Health and Caregiving Needs of Community-dwelling Elderly Individuals with Cognitive Impairment in Early and Late stages: Using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지온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1 No.2, 361~37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0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기초로 전·후기 노인의 인지 저하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 상태 특성을 살펴보며, 건강관리 행태 및 돌봄 요구도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인지저하 조사도구에 직접 응답한 65세 이상 노인 9,88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분석은 기술통계, Chi-square, t-test,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저하에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 거주지역, 건강수준, 우울증상이 영향을 주고 있었고, 인지저하 노인의 건강관리 행태 및 기능상태, 건강 및 사회만족도가 낮았으며, 집 거주를 위한 필요서비스가 높았다. 또한 인지저하 노인의 일상생활 수행 도움 요구도가 높았으나 충분히 충족되지 못해 향후 지역사회 내에서 돌봄을 안전하게 받을 수 있는 다양한 도움과 정책이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2020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to investigate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status, health management practices, and caregiving needs that influence cognitive impairment in early and late-stage elderly individuals. The research targeted 9,885 individuals aged 65 and above. Statistical analyse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The study found that cognitive decline in elderly individuals was influenced by age, education, income, location, health status, and depressive symptoms. Those with cognitive decline showed lower health management practices, functional status, and overall health and social satisfaction. There was a high demand for home residency services and assistance with daily activities among cognitively impaired individuals, indicating the need for diverse support and policies within local communities for safe caregiving in the futur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