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Havruta Teaching Method Applying flipped learning on Communication Competency,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이상주 박복남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1 No.2, 321~33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플립러닝을 활용한 하브루타 교수법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학업성취도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연구(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test design)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학과 재학생으로 실험군 68명, 대조군 66명으로 총 134명이 참여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의사소통능력(t=2.160, p=..048), 학업적 자기효능감(t=1.578, p=.042)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학업성취도(t=1.240, p=.515)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반영하여 간호대학생의 역량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법이 개발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the Havruta teaching method using flipped learning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y, academic achievement,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nursing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nursing students, with a total of 134 participants: 6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66 in the control group.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1.0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had better communication competency(t=2.160, p=..048) and academic self-efficacy(t=1.578, p=.042) than the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t=1.240, p=.515). In conclusion, teaching-learning methods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develop the cap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