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for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Latest Healthcare Technology in Nurs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정정미 남미라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1 No.2, 289~30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간호교육 인증에 필요한 '정보통신과 최신 보건의료기술 활용'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을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평가체계 구축의 이론적 타당성 확보를 위해 Kim 등의 평가모형(2009)과 Zimmaro의 루브릭 개발단계(2004)를 적용하였다. 수행준거부터 수행수준, 달성목표, 교육과정, 평가방법, 채점기준 및 자율 개선구조가 포함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가 개발되었다. 개발된 정보통신과 보건의료기술의 학습성과 평가체계는 간호교육에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고 예상된다. 본 연구는 간호학 학사학위과정에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에 관한 구체적인 방향성을 제시한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추후 본 연구의 평가체계를 적용하여 학습성과 달성도를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methodological research aimed at developing a program outcome assessment system for 'Utiliza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Latest Healthcare Technology' as required for nursing education accreditation. To ensure the theoretical validity of the assessment system, Kim's evaluation model (2009) and Zimmaro's rubric development stages (2004) were applied. The program outcome assessment system for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nd healthcare technology was developed, encompassing performance criteria, performance level, achievement goals, curriculum, evaluation methods, criteria, and the Close-the-Loop. The resulting assessment system is anticipated to be effectively utilized in nursing education, demonstrating broad applicabilit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providing specific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outcome assessment systems in undergraduate nursing programs.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evaluate and analyze program outcomes based on the applied assessment system.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논의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