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fluence of COVID-19 Vaccination Awareness on Clinical Practic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김은재 박부연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1 No.2, 191~19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COVID-19 시기에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상실습 교육의 비대면 방향으로 전향하는 시기에 백신접종과 임상실습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진행되었다. 임상실습은 보건계열 학생의 면허 필수 과목이다. 또한, 학생들이 졸업 후 임상실습의 경험이 그들의 전문직종에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연구결과 보건직에 취업하길 희망하는 학생의 대면 임상실습 정도가 희망하지 않은 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OR: 3.421, 95%CI: 1.333-8.775). 백신접종을 완료한 학생의 대면 임상실습이 높게 나타났다OR: 2.522, 95%CI: 1.017-6.254). 코로나19 상화에서 진행된 비대면 임상실습은 학생들에게 전염병의 감염우려로 전만적이 임상실습의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또한, 취업 후 현장 업무에서도 불안하게 생각하였다. 이에 전염병 감염에 대한 불안을 해소할 수 있는 백신접종을 적극 지지하여 대면 임상실습을 실행하여 학생들의 전문직군의 역할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vaccination and clinical practice during the COVID-19 period, when clinical practice education for public health students is shifting to a non-face-to-face direction. Student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after gradu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their professional careers. The result that students who wanted to work in health care had a higher level of face-to-face clinical practice than students who did not (OR: 3.421, 95%CI: 1.333-8.775). Face to face clinical practice was higher among vaccination students (OR: 2.522, 95%CI: 1.017-6.254). In the non-face-to-face clinical practice conducted at the COVID-19 of environment students were found to be low in satisfaction with the overall clinical practice due to concerns about contracting infectious diseases. Additionally, I felt anxious about working in the field after getting a job. Accordingly, we will be able to enhance the professional role of students by actively supporting vaccinations that can relieve anxiety about infectious diseases and conducting face-to-face clinical practice.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고찰 및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