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the Inundation at the Merging Area of Osipcheon and Local Stream Using a Two-Dimensional Model
- 발행기관
- 한국방재안전학회
- 저자명
- 김도진 전계원
- 간행물 정보
- 『한국방재안전학회 논문집』16권 4호, 61~66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자연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0년 9월 태풍 마이삭 ‧ 하이선으로 인한 침수가 일어난 삼척중학교 주변을 분석하였다. 삼척 오십천과 소하천인 등 봉천 합류 지점의 침수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2차원 수리 모형인 Iber를 적용하였다. 연구에서는 2020년 9월 3일과 9월 7일의 최대유량 및 80년, 100년 빈도 홍수량을 기반으로 침수 깊이와 침수 범위를 모의하였다. 모의 결과, 9월 7일에는 80, 100년 빈도 홍수량에서 미미한 차이를 나타냈으나, 9월 3일에서 9월 7일에 최대 유량 차이가 401 m3/s로 나타나 침수 깊이에서는 0.8 m, 침수 범위에서는 7.1 m2의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DEM을 이용한 등고선만을 고려한 분석에서는 삼척중학교 운동장뿐만 아니라 건물까지 침수가 예측되어 고정밀 지형자료인 DSM의 적용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flooded area around Samcheok Middle School caused by typhoons MAYSAK ‧ HAISHEN in September 2020. To analyze the confluence of Samcheok Osipcheon, local stream Deungbongcheon, we utilized Iber, a two-dimensional hydraulic model. We simulated the water depth and flood extent based on the peak flows on September 3 and September 7, 2020, and the 80 year and 100 year frequency floods. The simulation results showed that the 80-year frequency flood and the 100-year frequency flood on September 7 were insignificantly different, but the maximum flow rate from September 3 to September 7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t 401 m3/s, resulting in a difference of 0.8 m in water depth and 7.1 m2 in flood area. In addition, the analysis that considered only the contour lines using contour lines predicted inundation of not only the Samcheok Middle School playground but also the building, confirming the need to apply DSM.
목차
1. 서론
2. Iber 모형의 기본이론
3. 연구대상지역 선정 및 구축
4. 결과
5. 결론
Acknowledgment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