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nvestigation on the educational needs of department of paramedicine students' neurological examination competen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배기숙 김무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797~80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응급구조과 학생을 대상으로 신경학적 검진 역량에 대한 교육요구도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으며, 신경학적 역량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대한 기초자료와 더불어, 궁극적으로 실무에서 신경학적 응급상황에 효율적으로 대처할수 있는 전략 모색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신경학적 검진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신경학적 검진 역량 강화 교육요구도 조사는중요도와 수행도 분석을 활용한 단면적 서술적 연구 조사로 설계하였으며 신경학적 검진의 중요도와 수행도의 차이를 위해 Paired t-test 와 교육요구도의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해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신경학적 검진 역량 측정 도구도 응급구조(학)과 학생들의 신경학적 역량 향상을 위한 차원에서 의미있는 시도라 볼 수 있다. 둘째.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중요하다고 생각한 신경학적 검진 역량 항목은 운동 기능 항목이 가장 높았다. 셋째, IPA 기법을 활용해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인식하는 신경학적 검진 역량 강화 교육 요구도를 분석한 결과, 본 연구대상자들이우선 순위로 인식하는 항목은 병리학적 반사, 대뇌 기능, 뇌 신경 검진으로, 지속적으로 유지 및 관리해야 하는 항목은 운동 기능, 증상 및 징후, 신경계 전반적 평가, 기록과 보고로 파악되었다.
결론 신경학적 응급상황에 대하여 의료현장에서 신규 의료진이나 보건의료인력을 대상으로 교육을 제공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지만, 그 전부터 예비 보건의료인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신경학적인 응급상황별 증상 및 징후에 대한 대처 프로토콜과 신경학적 응급상황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포함한 다양한 내용들을 학생들의 요구도에 맞게 구성하여 교과목을 개발하고 주기적으로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educational needs for neurological examination capabilities for department of paramedicine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to improve neurological capabilities, as well as implications for finding strategies to efficiently cope with neurological emergencies in practice.
Method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to strengthen neurological examination capabilities, the survey on educational needs for strengthening neurological examination capabilities among paramedicine students was designed a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research survey using importance and performance analysis, and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importance of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Paired t-test was use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performance,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was used to select priorities for training needs.
Results First, the neurological screening capability measurement tool developed in this study can also be seen as a meaningful attempt to improve the neurological capabilities of department of paramedicine students. Second, the exercise function item was the highest in the neurological examination competency item that the department of paramedicine students considered import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for enhancing neurological screening capabilities recognized by department of paramedicine students using IPA techniques, the items recognized by this study subjects as priorities were pathological reflexes, cerebral function, and brain neurological examination, and the items that should be maintained and managed continuously were motor function, symptoms and signs, overall neurological evaluation, records and reports.
Conclusions It is also very important to provide education to new medical staff or health care personnel in the medical field for neurological emergencies, but before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subjects and conduct regular education by organizing various contents, including coping protocols for neurological emergencies and overall understanding of neurological emergencies, to meet students'nee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