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Meta-cognition in Science Core High School Students: Focused on High School 2nd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변유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769~78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과학중점고 학생들의 메타인지 생성과 결과, 그리고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을 분석하여 메타인지의 구성 요소를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을 지니고 있다.
방법 연구자는 과학중점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메타인지를 주제로 심층 인터뷰를 수행했고, 원자료를 줄 단위로 분석했다. 연구자는연구참여자에게서 개별적인 주제를 도출했고, 이러한 주제들을 공통성 차원에서 범주로 구성했으며, Yin(2014)이 제시한 사례 연구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모두 47개의 주제가 도출되었고, 연구자는 이를 학습 경험의 공통성 차원에서 더욱 추상화된 수준으로 결집했고범주를 제시하였다. 범주는 세밀한 관찰, 과학적 사고 연습, 실험주의, 통합적 사고의 배양, 지적 협업, 자기주도학습, 자기만의 공식만들기, 이론 적용 능력,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볼 수 있는 눈, 지적 희열 등 10개로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례 연구의 분석단위이자메타인지의 구성 요소인 계획, 점검, 조절, 신념과 직관이라는 4가지 구성 요소에 재배열하였다. 계획에서는 세밀한 관찰, 과학적사고 연습, 실험주의로 나타났다. 점검에서는 통합적 사고의 배양, 지적 협업, 자기주도학습으로 나타났다. 조절에서는 자기만의공식 만들기, 이론 적용 능력이 나타났다. 신념과 직관에서는 보이지 않는 세계를 볼 수 있는 눈, 지적 희열로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과학중점고 학생들의 메타인지 생성과 발현, 맥락, 결과의 메커니즘을 규명하였다. 그리고 과학중점고학생들의 메타인지 향상을 위한 재미있는 과학 수업 실행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omponents of metacognition by analyzing the generations and results of meta-cognition and the context that affects it in science core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context that affects it.
Methods The researche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n the topic of meta-cognition with science core high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raw data line by line. The researcher derived individual themes from the research participants, organized these themes into categories at the level of commonality, and analyzed them using the case study analysis method suggested by Yin (2014).
Results A total of 47 themes were derived as a result of the study, and the researcher aggregated them to a more abstract level in terms of the commonality of learning experience and presented categories. The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10 categories: detailed observation, scientific thinking practice, experimentalism, cultivation of integrative thinking, intellectual collaboration, self-directed learning, making one's own formula, ability to apply theory, eyes to see the invisible world, and intellectual delight. Finally, it was rearranged into four components: planning, inspection, regulation, belief and intuition, which are the units of analysis of the case study and the components of meta-cognition. In planning, detailed observation, scientific thinking exercise, and experimentalism appeared. In inspection, cultivation of integrated thinking, intellectual collabor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were found. In regulation, the ability to create one's own formula and to apply theories was shown. In belief and intuition, it appeared as an eye that can see the invisible world and intellectual delight.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mechanisms of meta-cognitive generation, expression, context, and outcome of science core high school student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suggestions were made for the implementation of fun science classes to improve meta-cognition of science core high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