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Action Learning Teaching-Learning Method on Nursing Students: Focus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formation literacy and Everyday creativit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미마 전도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735~74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간호사를 양성하는 위해서 간호지식을 가르치는 것도 중요하지만 학습자 스스로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방법을찾아 학습하고, 일상적 창의성과 정보활용능력을 통해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액션러닝 학습법을 통해서 문제해결능력, 정보활용능력, 일상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한 4년제 간호학과 간호정보학 교과목을 수강하는 1학년 학생 76명이다. 연구기간은 2022년9월 1일부터 2022년 10월 30일까지였다. 액션러닝 학습법을 통해 총 6회 프로그램으로 설계되었으며, 문제해결능력, 정보활용능력, 일상적 창의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Paired t-test, Cronbach’s α 계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액션러닝 학습법 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2.46±0.52점, p=.210), 일상적창의성(3.75±0.48점, p=.270)에는 효과가 없었으나, 정보활용능력 (3.72±0.47점, p=.027)은 향상되었다. 문제해결능력의 하위영역 확산적 사고(t=2.24, p=.027), 실행과 모험감수(t=2.24, p=.027)에는 효과가 있었고, 정보활용능력의 하위영역 정보검색(t=2.58, p=.011), 일상적 창의성의 하위영역인 독창적 유연성(t=-2.19, p=.030)으로 효과가 있었다.
결론 간호대학생의 액션러닝 학습법을 활용한 간호정보학 수업의 다양한 콘텐츠를 개발하여 적용 및 반복연구와 다양한 학년 및교과목을 적용하여 수업의 효과를 검증할 필요가 있으며, 액션러닝 수업 적용의 효과에 대한 종적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it is important to teach nursing knowledge in order to train nurses, but it is also important for learners to find ways to acquire knowledge on their own and to be able to solve problems through daily creativity and information utilization skills. This study attempted to confirm the effects of action learning methods on problem-solving ability,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nd everyday creativ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76 first-year students taking nursing informatics courses at a 4-year nursing school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is study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1, 2022 to October 30, 2022. with 76 nursing students assigned among 1st year students attending nursing department in G city. It was designed as a total of 6 programs through the action learning teaching learning method, and was measured using problem solving ability, information literacy ability and every creativity measurement tool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aired t-test and Cronbach's α coefficient using the SPSS 26.0 program.
Results There was no effect on improving problem-solving ability (2.46±0.52, p=.210) and every creativity (3.75±0.48, p=.270) of nursing students after the action learning teaching learning method, but information literacy (3.72±0.47, p=.027) improved. It was effective in the sub-areas of problem-solving ability, divergent thinking (t=2.24, p=.027), execution and risk taking (t=2.24, p=.027), and the sub-area of information literacy ability(t=2.24, p=.027), information retrieval(t=2.58, p=.011) and creative flexibility (t=-2.19, p=.030), a subarea of everyday creativity.
Conclusions It is necessary to develop various contents of nursing informatics classes using the action learning teaching learning method of nursing students, apply and repeat research,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by applying various grades and subjects, and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 of applying action learning classes. It is suggested that.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