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young children's ability to control emotions on young children's problematic behavi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임숙현 곽경화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719~73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G시에 소재한 국공립, 법인, 직장, 민간어린이집에 재원하는 만 3-5세 유아 291명과 그 어머니 291명을 대상으로 2022년 12월 12일부터 2023년 1월 8일까지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 유아의 문제행동에 대한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은 유아의 문제행동과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내재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에 대한 상대적인 설명력에서는 부정적 정서표현, 애정적, 통제적, 거부적 양육태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외재적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들에 대한 상대적인설명력에서는 애정적 양육태도, 부정적 정서표현, 통제적 양육태도, 긍정적 정서표현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유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에 대한 변인을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문제행동을 개선하기 위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how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influence problem behaviors in young children.
Methods For the study, 291 young children aged 3-5 years old and 291 mothers enrolled in a daycare center located in G city were surveyed from December 12, 2022 to January 8, 2023.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attitud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of young children, and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For the collected data,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 using the SPSS 21.0 program,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relationship of the variables.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found that the mother's parenting attitude an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were correlated with the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 Secondly, in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young children's intrinsic problem behaviors,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affectionate, controlling, and rejecting influences in the order shown. In the relative explanatory power of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extrinsic problem behaviors of young children, affectionate, negative emotional expression, controlling, and positive emotional expression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in the order.
Conclusion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on the variables affecting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such as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It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to enhance maternal parenting attitudes and young children's emotion regulation abilities, which, in turn, may help improve young children's problem behavio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