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erience of beginning teachers practicing the 2019 Revised National Nuri Curriculu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애경 서혜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677~70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초임 교사의 경험을 통해 2019 개정 누리과정을 실천하는 데 겪는 어려움이 무엇인지, 이를 통해 교원양성기관이개선해야 할 방향에 대한 탐구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유치원에 재직하는 초임 교사 1인과 어린이집에 재직하는 초임 교사 1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2023년4월 27일부터 6월 27일까지 심층 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인터뷰한 자료는 모두 전사하였으며, 전사한 자료는 주제어 짓기-유목화-연구 축 구성하기의 과정을 거치는 귀납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초임 교사가 개정 누리과정을 실천하는데 갖는 어려움은 1) 안전사고 염려로 제한하는 놀이, 2) 구조화된 매체가가득한 교실, 3) 놀잇감 부족 및 더딘 자료 지원, 4) 확장되지 않는 놀이에 대한 고민, 5) 개정 누리과정 실천 역량 부족이다. 이러한경험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은 개정 누리과정을 잘 실천하는 유아교사 양성을 위해 대학교육이 1) 각본 없이 현장의 실제처럼 모의수업하기, 2) 실제 유아처럼 놀이하는 상황에서 놀이 확장하는 경험하기, 3) 비구조화 매체로 진짜 놀이 체험하기로 변화가 필요하다고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현장 교사인 초임교사의 2019 개정 누리과정 실천 이야기를 통해 대학의 배움이 현장에 잘 전이되기 위해 대학교육의 변화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plores the difficulties encountered in implementing the 2019 Revised National Nuri Curriculum through the experiences of beginning teachers and the direction in which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improve.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included one beginning teacher working at a kindergarten and one beginning teacher working at a daycare center.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rom April 27 to June 27, 2023. All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nd the transcribed data was analyzed using an inductive analysis method that went through the process of creating keywords, nominating, and constructing research axes.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difficulties that beginning teachers have in practicing the Revised National Nuri curriculum are 1) limited play due to concerns about safety accidents, 2) classrooms full of structured media, 3) lack of toys and slow material support, and 4) concerns about play that does not expand, 5) lack of capacity to implement the Revised National Nuri course. Through these experiences, research participants learned that in order to train early childhood teachers who practice the Revised National Nuri Curriculum well, university education should include: 1) conducting mock classes as if they were real in the field without a script, 2) experiencing expanded play in situations where children actually play like children, 3 ) experiencing real play with unstructured media.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for change in university education in order for university learning to be well transferred to the field through the story of a first-time teacher who is a field teacher practicing the 2019 Revised National Nuri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