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Fashion Marketing: Focused on Korean Academic Journals from 2010 to 2022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채희주 신장희 이영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637~65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학술지별 패션 마케팅 분야의 연구를 분석하여 패션 마케팅 분야의 연구 경향을 알아봄으로써 패션 마케팅 분야연구의 변화를 파악하고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방법 2010년부터 2022년까지의 의류학 분야의 학회지 총 7종에 게재된 6452개의 논문 중 패션마케팅학과 관련된 연구를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학회지별 논문분포, 연구주제에 따른 학회지별 경향 및 분포, 연구 방법, 연구대상자에 따라 내용분석을 하였다.
결과 패션마케팅 연구주제는 현재 의류학 관련 학술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융합분야의 학술지로 그 분야를 넓혀가고 있는 것으로파악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패션마케팅학 연구 현황을 학술지별로 통합적으로 분석을 함으로써 미래 연구 방향뿐 아니라 패션산업이 나아가야할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의미 있는 결과들이 도출되었다. 7종의 학회지를 통합적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를 마케팅학 연구 전체로 확대하여 해석하기에는 제한이 있지만, 패션마케팅 연구주제는 현재 의류학 관련 학술지뿐만 아니라 다양한 융합분야의 학술지로 그분야를 넓혀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패션마케팅이라는 범주에 다양한 내용의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패션마케팅의관점으로의 연구 관점 및 영역을 어느 정도까지 범주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해 보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changes in fashion marketing research and suggest a direction to move forward by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fashion marketing research by academic journal overall.
Methods 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 related to fashion marketing among 6,452 papers published in a total of seven academic journals in the field of textiles and clothing from 2010 to 2022. The contents of study are analyzed based on the ratio published in related papers by textiles and clothing related academic journals, trends and ratios by academic journals according to research topics, comparison of research methodologies, and gender ratio of the study subjects.
Results The important point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current fashion marketing related research is expanding its scope to various journals dealing with convergence studies as well as textile and clothing related journals. In addition, since various studies are being conducted in the category of fashion marketing, it seems necessary to consider to what extent fashion marketing should be categorized in terms of the perspective and area of research.
Conclusion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fashion marketing research by academic journal, resulting in meaningful findings that suggest the direction not only of future research but also of the fashion industry. There is a limit to expanding and interpreting the research results of an integrated analysis of seven academic journals to the entire research of marketing studies. There have been no studies that have conducted an integrated analysis of a number of journals with regard to fashion marketing topics;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very meaningful. Fashion marketing is a latecomer among textiles and clothing, and its history is shorter than other fields. However, as shown in this study, the pace of academic change is becoming more mature. Therefore, future oriented in-depth fashion marketing research focusing on the current fashion industry structure is continuously nee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