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순영 구광현 김화록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521~53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개인 배경 변인(연령, 학력, 경력, 유아교육기관 유형, 담당학급 연령)에 따른 전문성 지원환경하위변인(전문성 학습과 발달을 위한 기회, 교사와 원장과의 관계, 교사와 유아에 대한 기대, 교사의 자율성과 의사결정)에 관한 인식차이를 분석하는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유아교사 총 62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SPSS 21.0을 활용하여 내적 일치도 분석과 자료의 정규성 검증, 평균과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량 분석과인식 차이 분석을 위한 독립표본 t-검증과 ANOVA 및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전문성 학습과 발달을 위한 기회에 관해서는 유아교사의 연령, 경력, 유아교육기관 유형, 담당학급 연령에 따라 유의한 인식차이가 발견되었으며, 교사와 원장과의 관계에 관한 인식은 유아교사의 연령, 경력,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교사와 유아에 대한 기대에 관한 인식은 교사의 연령과 유아교육기관 유형에 따른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하지만 교사의자율성과 의사결정의 경우 개인 배경 변인에 따른 유의한 인식 차이는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 개인 특성을 고려한 전문성 지원환경 구축이 필요하며,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전문성 지원환경 논의가상위개념뿐만 아니라 하위변인으로 세분화하여 접근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학습을 지원하는다양한 원내 활동이나 세미나, 교사경력을 고려한 스터디 모임 등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we tried to analyze and discuss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age, academic background, career,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age)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learning and development,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directors, expectations for teachers and infants, and decision-making).
Methods A total of 62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were surveyed to collect data. Using SPSS 21.0, independent sample t-verification, ANOVA, and Scheffé follow-up verification were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recognition and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internal consistency analysis, data normality verificatio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Results In terms of professional learning and development opportuniti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erception according to the age, career,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age of the teacher and director. In the perception of expectations for teachers and infant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ge of teachers and the typ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However, in the case of teacher autonomy and decision-making,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was found according to individual background variabl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wa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considering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at discussions on the professional support environment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need to be approached by subdividing them into sub-variables as well as higher concepts. In addition, the necessity of activating various in-house activities, seminars, and study meetings in consideration of teacher experience to support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learning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