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Dropout in counseling: Focus on Youth counselor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주성 권경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315~3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청소년 상담자가 조기 종결에서 겪는 어려움과 이들이 인식한 종결요인, 대처전략을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방법 연구방법으로 경험의 본질구조를 탐색하는데 초점을 둔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해 진행하였으며, 청소년 상담에서 조기종결을 경험한 상담자 9명을 모집하여 심층면담 및 분석을 진행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8개 상위 범주, 24개의 하위범주 95개의 중심 의미가 도출되었다. 상위 범주는 준비되지 못한, 그러나 예상되는종결을 경험함, 종결 경험에서 부정적이고 혼란스러운 정서적 반응이 일어남, 자책과 미해결 과제에 대한 지속적 반추가 일어남, 종결에 영향을 미친 상담자 요인들, 종결에 영향을 미친 내담자, 부모, 현장의 외부 요인들, 종결을 극복하기 위해 수퍼비전과 외부조력을 통한 다양한 노력 시도, 조기 종결을 반복하지 않기 위해 종결 경험을 바탕으로 새로운 시도와 환경을 구성함, 종결이 상담자성장을 위한 수용과 환기의 시간이 됨으로 나타났다.
결론 청소년 상담에서 상담자의 조기 종결 경험을 확인하고 이들의 체험, 종결 요인, 종결에 대처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difficulties that youth counselors face in Dropout, the termination factors they recognize, and coping strategies.
Methods As a research method,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as applied, and nine counselors who experienced Dropout in youth counseling were recruited to conduct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95 central meanings, 24 subcategories, and 8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Experiencing an Unprepared, But Expected dropout, Dropout result in negative and confusing emotional responses., Continuous rumination on self-blame and unsolved tasks occurs, Counselor factors that influenced dropout, Client, parent, and external factors that influenced dropout, Attempting various efforts through supervision and external assistance to overcome dropout, In order to avoid repeating dropout, new attempts and environments are created based on dropout experience, and Dropout becomes a time of acceptance and ventilation for the counselor’s growth.
Conclusions In youth counseling, the counselor's Dropout experience was confirmed, and their experience, termination factors, and countermeasures against termination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