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Needs of Instructors for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Liberal Korean Textbooks’ for English Track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류승의 김장식 조윤경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285~29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어트랙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과 한국생활 적응을 위해 교수자들의 인식 및 요구조사를 토대로 영어트랙 유학생을 위한 맞춤형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부산지역 대학에서 영어트랙 유학생 대상 한국어 수업을 진행한 교수자 9명을 대상으로 1차 포커스 그룹 인터뷰, 2차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1처 예비조사를 토대로 질문을 완성하였고 2차 본조사 문항은 다지선다, 복수응답, 자유응답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하여 교수자들의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고자 하였다.
결과 교수자들은 영어트랙 유학생의 학습목적, 의지, 부족한 수업 시간, 맞지 않는 교재 등으로 인해 진행한 한국어 수업에 대한만족도가 낮았다. 하지만 영어트랙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교육과 맞춤형 교재 개발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교재는 한 학기에 맞는 단원수, 문법과 어휘, 말하기와 어휘를 중심으로 구성해야 한다고 하였다. 주제 또한 대학생활과 한국생활에 실제적으로 활용 가능한내용으로 구성해야 하며 영어 번역 등이 필요함을 언급하였다.
결론 교수자의 인식 및 요구조사를 토대로 영어트랙 유학생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을 위한 한국어 교육과 맞춤형 한국어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customized Korean textbooks for English track international students based on the perception and needs of professors to adapt to college life and Korean life of English track foreign students.
Methods In order to study this purpose, the first focus group interview, second perception, and demand survey were conducted on nine professors who conducted Korean language classes for English track international students at universities in Busan. The question was completed based on the preliminary survey of the first chapter, and the questions of the second main survey were organized in various ways, such as multiple choices, multiple responses, and free responses to accept various opinions from professors.
Results The instructors were less satisfied with the Korean language class conducted due to the learning purpose, insufficient class time, and inappropriate textbooks of English track international students. However, recognizing the need to develop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customized textbooks for English track international students, the textbooks should be organized around the number of units suitable for a semester, grammar and vocabulary, speaking and vocabulary. This study also mentioned that the subject should be composed of contents that can be actually used in college life and Korean life, and that English translation is necessary.
Conclusions Based on the perception and demand survey of instructor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track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study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Korean textbooks for th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개발 방향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