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Non-Disabled Students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백영순 박순길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203~21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장애를 가진 형제를 둔 비장애학생의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알아보고 성별과 학급별 차이와각 변인 간에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광주, 전남, 전북의 사설 발달재활센터 8개 기관의 장애를 가진 형제를 둔 비장애학생 89명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기술통계,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장애를 가진 형제를 둔 비장애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유하지 않았으며, 스트레스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급별에 따른 차이를 분석한 결과 학년이 높아질수록 회복탄력성은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셋째, 회복탄력성은 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회복탄력성은 스트레스 대처방식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장애를 가진 형제를 둔 비장애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향상시키고, 장애형제와 비장애학생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silience,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ased on gender and school grade, as well a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9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from 8 privat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in Gwangju, Jeonnam, and Jeonbuk.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for non-disabled students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however, stress levels were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Second, as school grade increased, resilience also increased, while stress coping strategies decreased. Third, resili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coping strategi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support programs are needed to enhance the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both the disabled siblings and the non-disabled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