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on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5-year-old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윤소연 김영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187~20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및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5세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및 자기조절력을 알아보기 위해 G시에 위치한 R 유치원 5세 32명을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각각 배치하였다. 실험집단은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비교집단은 유치원 연간계획에 따른신체활동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과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 박은영(2007)의 유아 운동능력 검사 도구 및 최지연(2012)의 기본 운동능력 검사 도구 등을 김주연과 김정민, 김경숙(2013)이 수정⋅보완한 대근육 조작운동능력검사와 Kendal과 Wilcox(1979)가 개발한 Self-Control Rating Scale를 유혜정(1988)이 번안하여 이지현(2011)이 수정⋅ 보완한 자기조절력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결과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유치원 연간계획에 따른 신체활동을 실시한 비교집단 유아보다 대근육 조작운동능력, 자기조절력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더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결론 공을 활용한 신체활동이 5세의 유아의 대근육 조작운동능력과 자기조절력을 향상하는 데 보다 더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임을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ffect of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on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5-year-olds.
Methods The subjects were 32 five-old-years children(16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6 in the comparative group) two classes out of L preschool in the of ‘G’c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while the comparative group participated in free physical activities, twice a week for eight week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gross motor maneuver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Second, self-regul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arative group. These results allow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to think freely about how to use the balls in various ways. By interacting, it not only brought about the improvement of creative body expression ability. And it can be seen that in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physical activities, self-regulation was improved by inducing voluntary immersion and controlling one’s thoughts and emotion.
Conclusions Consequentially, This study showed that physical activities using balls should be considered as a meaningful alternative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help improve on gross motor maneuverability and self-regulation of 5-year-ol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