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PBL in Teaching Subjects and Derivation of Problem Solv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미옥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93~10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교직과목에 문제중심학습(PBL)을 적용한 후에, 예비교사들이 어떤 경험과 인식을 하는가를 탐색하려고 하였다. 또 PBL 문제 시나리오에서 드러난 예비교사의 구체적인 문제해결방안은 무엇이며, 자신과 동료의 참여도를 어떻게 평가하는가를검증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 예비교사 99명이 참여하였고, 이들은 문제중심학습(PBL)에서 교육 현장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주제로 브레인스토밍을 하고, 여기에서 도출된 내용을 기초로 문제 시나리오를 만들었다. 예비교사는 이 시나리오 중에서 관심이 높은 주제를 중심으로 모둠을 구성하고, 문제중심학습(PBL)의 단계에 따라 수행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시나리오 별로 성찰일지, 자기평가, 동료평가의 자료가 수집되었다. 성찰일지를 토대로 질적 자료가 분석되었으며, 자기평가와 동료 평가를 토대로 빈도와 평균 및 표준편차가산출되었다.
결과 예비교사들이 문제중심학습(PBL)을 통해 얻은 경험과 인식은 긍정적인 측면도 있고, 부정적 측면도 있었다. 예비교사들이시나리오에서 도출한 문제해결 방안을 살펴보면, 이들은 아직 교직 경험이 없어서 현장에 적용하기 힘든 아이디어를 말하기도 하였지만, 현실적인 해결방안이 도출되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의 자기평가보다 동료 평가의 평균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교직 과목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하여 예비교사의 현장감과 문제해결방안을 도출하고, 동시에 문제 시나리오에 몰입하면서 교사 역할을 연습하고 반성적 성찰을 촉구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o explore what kind of experiences and perceptions pre-service teachers had after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PBL) to the teaching subjects. In addition, this study tried to verify what the pre-service teachers' specific problem solving skills were and how they evaluated the participation of themselves and their peers.
Methods In the study, 99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and they brainstormed on topics that could occur in the educational field in problem based learning (PBL), and created problem scenarios based on the contents derived from this. The pre-service teachers formed a group based on a topic of high interest among these scenarios and performed according to the stages of problem-oriented learning (PBL). In this process, reflection journals, self-evaluation, and peer evaluation data were collected for each scenario. Qualitative data was analyzed based on reflection diaries, and descriptiv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based on self-assessment and peer evaluation were conducted.
Results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that pre-service teachers gained through problem-based learning (PBL) had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Looking at the problem-solving methods derived from the scenarios by pre-service teachers, they did not yet have teaching experience, so they talked about ideas that were difficult to apply to the field, but realistic solutions were derived. Third, it was found that pre-service teachers rated peer evaluation higher than self-evaluation.
Conclusions By using problem based learning (PBL) in the teaching subjects, we were able to derive prospective teachers' sense of reality, and problem solving, at the same time, practice their role as techers while immersing themselves in problem scenarios, and encourage reflective refle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