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Learning Attitude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Moder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s a Basic Psychological Nee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현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75~9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협동학습태도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자율성, 유능감, 관계성)가 학업지연행동을 낮추는데 어떠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분석하고, 여기에서 도출된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학습자중심 수업설계 방향을 제언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방법 지역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334명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SPSS통계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에따른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한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고,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고 각 수준별t값 유의수준을 통해 조절효과의 유의성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협동학습태도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자기결정성동기 수준 ‘상’집단(유의수준 .001)과 ‘중’집단(유의수준 .05)에서 학업지연행동을 완화시키는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두 집단에서는 협동학습태도수준이 높아지고 자기결정성동기 수준이 높아질수록 학업지연행동이 낮아지는 완화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조절효과를 나타낸 자기결정성동기 중 하위요인의 조절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하위요인별로 분석한 결과, 관계성 요인의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런데 관계성 수준이 높을수록 협동학습태도 수준이 낮아지면 학업지연행동 수준은 높아지고, 관계성 수준이 낮을수록 협동학습태도 수준이 낮아지면 학업지연행동 수준은 높아지는 대립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학업지연행동을 낮추기 위하여 자기결정성동기 수준을 높이는 것이 효과적이나 관계성 동기 수준이 높은 학생의 경우 협동학습태도 수준도 함께 높일 수 있을 때 보다 효과적인 수업이 될 수 있음을 보고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utonomy, competence, relatedness) in reducing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and procrastination behavior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ethods The subjects were 334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colleges.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groups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rough SPSS statistical analysis, an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Fir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the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level ‘high’ group(p<.001) and ‘medium’ group(p<.05) showed a moderating effect of mitigating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In these two groups, the higher the level of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and the higher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lower the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sub-factor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were shown in all levels of relatedness. However, when the level of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was lowered, the higher the level of relatedness,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the lower the level of relatedness, the lower the level of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Conclusions It was reported that raising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is effective in reducing academic procrastination, but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a high level of relationship motivation, it can be a more effective class when the level of cooperative learning attitude can also be raised. In additi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were discussed together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suggested for future stud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의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