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Research Trends by Successive Governments on Child-care Policies Relating to Low-fertilit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From 2013 to 2023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강훈 정수정 임홍남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4호, 47~7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저출산 관련 보육정책에 대한 역대 정부별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저출산 관련 보육지원정책의 방향성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학술정보원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제공하는 학위논문과 KCI 학술지 D/B를 활용하여 ‘저출산’, ‘저출생’ 을 키워드로 rawDATA를 수집하였다. 체계적 문헌고찰과 1차⋅2차 정제과정을 거친 데이터를 활용하여 1-mode matrix dataset을 작성하고, 전체와 역대 정부별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논문유형별로는 학술지가 가장 많았으며, 정책영역별로는 권력이 가장 많았다. 둘째, 역대 정부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본 결과 1기는 ‘출산율 향상을 위한 국가주도의 출산장려정책 연구 도입기’, 2기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출산장려정책 연구 변혁기’, 3기는 ‘사회적 인식 탐색을 위한 빅데이터 기반 출산장려정책 연구 강화기’로 명명되었으며, 1기에서3기로 연구의 흐름이 변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저출산 관련 보육정책의 전반적인 경향성과 역대 정부별 연구동향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출산 관련 보육지원정책 마련을 위한 방향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irections for child-care support policies related to low fertility by examining the research trends of successive government on child-care policies related to low fertility using keyword network analysis.
Methods For this purpose, thesis and KCI academic journal D/B provided by the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of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were used to collect rawDATA with keywords such as ‘low fertility’ and ‘few births’. A 1-mode matrix dataset was created based on the data that had been systematically reviewed and the first and second refinements were completed, and a keyword network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entire and successive government.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by thesis type, academic journals had the most, and by policy area, the power was the most.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research trends by successive governments, the first period was named ‘the introductory period of state-led fertility promotion policy research to improve the fertility rate’, the second period was named ‘the transition period of fertility promotion policy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the third period was named ‘the strengthening period of big data-based fertility promotion policy research to explore social awareness’, which indicates that the flow of research changes from the 1st to the 3rd stage.
Conclusions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overall trend of child-care policies related to low fertility and research trends by successive governments, as well as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preparation of childcare support policies related to low fertilit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