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A Measurement Tool for Practical Application of Invention Teacher Job Training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승원(Seung-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6권 제4호, 27~4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발명교사교육센터에서 추진하고 있는 현직교사 대상의 발명교육 직무연수의 현업적용도를 확인하기 위한 측정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현업적용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발명교사의 현업적용도를 판단할 수 있는 척도는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는 현업적용도 척도 개발을 위하여 이론 고찰, 전문가 내용 타당화, 예비검사, 요인분석, 본검사, 신뢰도 분석의 단계별 절차를 거쳐 진행되었다. 선행연구로부터 현업적용도의 요소와 구성요인을 규명하고 전문가 타당성 검토를 통해 총 24개의 문항 초안을 확보할 수 있었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4개의 요인(학습파지도, 교육능력향상도, 연수유용도, 교육활용도)으로 구성된 20개의 문항을 구성할 수 있었으며, 최종 20문항에 대하여 본검사를 통한 신뢰도 분석 결과, 4가지 하위요인 모두에 대하여 신뢰도는 0.7 이상의 매우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어 척도에 대한 타당도와 신뢰도 모두 확보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발명교사 직무연수 현업적용도 측정도구가 발명교육 직무연수 운영과 더불어 발명교사의 발명지도와 전문성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sign and validate a tool for measuring practical application, focusing on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vention education job training for in-service teachers facilitated by the Invention Teacher Education Center. To achieve thi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to identify sub-factors that constitute practical applicability and determine how to construct the scale to judge the practical applicability of invention teachers. The study employed a systematic process involving theoretical review, expert content validation, a preliminary test, factor analysis, a main test, and reliability analysis to develop the practical applicability scale.
Concerning the first research question, ‘What are the sub-factors for measuring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nvention teachers after the invention education on-the-job training?’, we identified key elements and components of practical applicability through insights from existing research, generating a total of 24 draft questions through an expert feasibility review. Subsequentl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narrowed these to 20 questions across 4 factors: learning wave guidance, improvement in educational ability, training usefulness, and educational utilization. The final 20 questions yielded very high reliability scores exceeding 0.7 for all four subfactors during the main test, ensuring the scale’s validity and reliability.
Regarding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How should the items of the scale that can judg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invention teachers after the invention education job training be composed?’, the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a total of 20 questions across 4 subfactors. The learning wave guidance comprised 8 questions on the degree of memory for program content, topics, and keywords. The improvement in educational ability, consisting of 5 questions, gauged the degree of performance and ability improvement related to the topic. Training usefulness consisted of 4 questions measuring the degree of interest and usefulness in invention education. Finally, educational utilization, consisting of 3 questions, assessed the degree of use in school settings, including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절차와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