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Variables Influencing University Students'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in the Post-COVID-19 Era
- 발행기관
-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 저자명
- 정한호(Han Ho Jeo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과학습: Global Creative Leader』제13권 4호, 51~81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강의에 참여한 대학생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에 중점을 두어 최적의 모형을 개발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자료는 2023년 봄학기 동안 진행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 161명으로부터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대학 수준의 온라인 강의에서 만족도에 대한 주요 영향 요인으로 태도의 중요성을 실증하였다. 둘째, 대학 온라인 학습에서 지각된 품질이 만족에 직접 및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셋째, 맞춤형 학습 환경이 지각된 품질과 태도의 매개효과를 통해 간접적으로 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실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에서 온라인 교육 전략을 구상할 때, 학습자의 태도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용적 논의 및 함의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of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online courses and to develop an optimal model. Building upon previous research on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in both online and offline university courses, this study establishes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online learning experience,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perceived quality, and satisfactio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161 universit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n online education program during the spring semester of 2023.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validates the significance of attitude as a primary influencing factor on satisfaction in university-level online courses. Second, this study empirically demonstrates that perceived quality in university online learning has a direct and indirect impact on satisfaction. Third, this study establishes empirically that a personalized learning environment indirectly influences satisfaction through the mediation of perceived quality and attitude. These results underscore the imperative for universities to prioritize enhancing learners' attitudes when devising strategies for online educat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long with implications, are presented based on these finding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Ⅲ. Research Framework and Hypotheses
Ⅳ. Method
Ⅴ. Result
Ⅵ. Discussion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