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urgical Outcomes of Hammer-Chisel and Drill Techniques to Create Superior Bony Ostium During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 발행기관
- 대한안과학회
- 저자명
- 이혜진(Hye Jin Lee) 오준호(Jun Ho Oh) 강용구(Yong Koo Kang) 김대우(Dai Woo Kim) 손병재(Byeong Jae Son)
- 간행물 정보
- 『대한안과학회지』volume64,number12, 1127~1135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cold steel” 기구인 망치-끌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소개하고 드릴과의 술 후 결과를비교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원에서 코눈물관협착 또는 막힘을 진단받고 망치-끌 또는 드릴을 이용하여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환자총 191명 297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후 경과 관찰에서 눈물흘림 여부 및 해부학적 합병증인 육아종 형성, 눈물소관 막힘, 골공유착, 섬유막 형성 등이 있는지 확인하여 두 환자군의 수술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후 해부학적 합병증은 망치-끌을 사용한 환자군 중 29안(18.6%), 드릴을 사용한 군은 51안(36.2%)에서 발생하였다(p=0.001). 해부학적 실패는 드릴을 사용한 군에서 28안(19.9%), 망치-끌을 사용한 군에서 18안(11.5%)으로 드릴을 사용하였을 때 해부학적 실패 비율이 높았다(p=0.038). 기능적 실패는 망치-끌을 사용한 군에서 13안(8.3%), 드릴을 사용한 군에서 13안(9.2%)이었다(p=0.787). 평균 수술 소요 시간은 망치-끌을 사용한 군에서 25.4 ± 9.1분, 드릴을 사용한 군에서 35.5 ± 10.4분으로 드릴을 사용한군에서 더 긴 수술 시간이 소요되었다(p<0.001).
결론: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에서 망치-끌을 사용한 절골술은 드릴에 비해 수술 성공률이 높고 합병증 발생률이 낮은 효과적인수술 방법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Purpose: We introduce a “cold steel” hammer-chisel technique for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then compare postoperative outcomes between this technique and a drill technique.
Methods: This study included 191 patients (297 eyes) with nasolacrimal duct stenoses or obstructions who underwent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using the hammer-chisel or drill technique.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via follow-up screening for epiphora and anatomical complications such as granuloma and fibrous membrane formation, canalicular obstruction, and synechiae.
Results: Postoperative anatomical complications occurred in 29 eyes (18.6%) in the hammer-chisel group and 51 eyes (36.2%) in the drill group (p = 0.001). The anatomical failure rate was higher in the drill group [28 eyes (19.9%)] than in the hammer-chisel group [18 eyes (11.5%); p = 0.038]. Functional failure was observed in 13 eyes (8.3%) in the hammer-chisel group and 13 eyes (9.2%) in the drill group (p = 0.787). The mean operation time was significantly longer in the drill group (35.5 ± 10.4 minutes vs. 25.4 ± 9.1 minutes) (p < 0.001).
Conclusions: During endoscopic dacryocystorhinostomy, osteotomy with a hammer-chisel is more successful and leads to fewer complications than osteotomy with a drill.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