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Debris Flow: Topographical Data and Discharge Rate Study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남균 전병희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3권6호, 123~134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2020년 8월 집중호우로 인하여 곡성군 선세리 일대에서 발생한 토석류 현장을 무인항공기(Unmanned Aerial Vehicle, UAV)를 이용하여 항공사진측량을 실시하였다. 측량자료를 이용하여 정사영상과 고해상도 DSM (Digital Surface Mode)을 생성하였다. 현장조사를 통하여 토석류로 인한 침식과 퇴적상황을 확인하고, 토석류 범람범위를 정확하게 실측하였다. 토석류 시뮬레이션을 위해 유한차분 수치해석을 실시하였으며, 입력자료 중 토석류 유량과 지형자료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토석류 발생유량 결정에 합리식 적용시 토석류 발생직전 최대 강우강도가 중요하며, 적용되는 유출계수, 토사농도도 높은 값으로 추정되었다. 지형자료에 따라 토석류 시뮬레이션 결과가 크게 달라지는 것을 보였으며, 정확한 현장의 지형자료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을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used an unmanned aerial vehicle (UAV) for aerial photogrammetry at the Seonseri debris flow site in Gokseong-gun, triggered by heavy rainfall in August 2020. Survey data facilitated the generation of orthographic images and high-resolution digital surface mode (DSM). Finite difference method (FDM) numerical analysis simulated debris flow, exploring the impact of discharge rate and topographic data among input variables. Applying the rational formula for determining debris flow discharge rate emphasized the significance of maximum rainfall intensity just before the event, with high estimated values for runoff coefficient and soil concentration. The study highlighted significant variations in debris flow simulation results based on topographical data accuracy, emphasizing the crucial role of precise site-specific topographical data.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