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Affecting the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진 채여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843~85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일개 시의 대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태도, 반창의성 편향, 과학적 태도, 창의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방법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기술통계방법, independent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과 Hierarchical regression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창의성은 부의 허용적 양육태도, 민주적 양육태도, 그리고 모의 허용적 양육태도, 권위적 양육태도, 민주적 양육태도, 과학적 태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성별, 모의 권위적 양육태도, 과학적 태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의 설명력은 34.7%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전공 수업에서 다양한 교수방법을 활용하여 과학적 태도를 높임으로써, 창의성을 함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parental authority, bias against creativity, scientific attitude, and creativity of 152 college students in one city, an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creativity.
Metho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s a result, creativ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ther's permissive parental authority, democratic parental authority, and mother's permissive parenting attitude, Authoritative parental authority, democratic parental authority, and scientific attitude.
Results The factors influencing creativity were gender, mother's authoritative parental authority, and scientific at-titude, and their explanatory power was 34.7%.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reativity can be cultivated by enhancing scientific attitudes by using various teaching methods in major clas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