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of Micro-teaching in the area of expressive activ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곽주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759~77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마이크로티칭은 예비교사들을 교육하는 과정에서 이론에 대한 지식과 더불어 실제 수업설계와 수업시연 경험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된다. 본 연구는 예비체육교사들이 표현영역 마이크로티칭을 준비하는 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마이크로티칭을 경험하고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무용교육을 수강하는 체육학과 예비체육교사 4명이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표현영역 마이크로티칭을 사례를 분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마이크로티칭 전, 중, 후에 대한 개방형 설문지 및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범주분석 과정을 거쳤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은 마이크로티칭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업설계 및 준비 과정을 통해 객관적이고 비판적인 수업을 경험하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실시간 피드백을 통해 자신의 수업 장점 약점을 알아볼 수 있는 ‘긍적적인 측면’과 준비했던 수업계획이 제대로 진행이 되지 않음과 수업을 평가 받는 것에 대한 부담에 대한 ‘부정적인 측면’ 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료 피드백 및 자기수업분석을 통해 자기성찰의 시간을 가지며 다양한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경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예비교사들의 마이크로티칭 경험은 교육과정의 기본적인 지식과 가르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있는 체육 표현영역에 대한 수업 전문성의 문제를 극복하고 교육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 경험하게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Microteaching is actively used to experience practical instructional design and instructional demon-stration along with knowledge of theory in the course of pre-service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epare for microteaching in the area of expression, experience and explore actual microteaching.
Methods Participants were pre-servic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n=4) to analyze microteaching cases in the field of expression, and open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s before, during, and after microteaching were conducted to collect data, and the collected data went through an inductive category analysis proces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various difficulties in preparing microteaching, but experienced objective and critical classes through the class design and preparation process. (2) Pre-service teachers have a “positive aspect” of identifying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lass through real-time feedback and a “negative aspect” of the burden of not proceeding properly and being evaluated. (3) They had time for self-re-flection and experienced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peer feedback and self-class analysis.
Conclusions Pre-service teacher's micro-teaching experience recognized the basic knowledge of the curriculum and the importance of teaching, overcame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problem in the relatively with out field of physical education, and experienced it educationall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