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struction for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ssessing Expertise Development: Process-Based Assessment Approach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721~7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영어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수업 운영을 통해 예비영어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지도 방안을 제안하여 이를 예비영어교사에게 실제 적용한 후 이들의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평가 전문성 및 과정 중심 평가 이론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토대로 과정 중심 평가 기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운영 방안을 고안하였고, 이를 2022년 2학기에 서울 소재 대학 예비영어교사 20명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학기 초와 학기 말 평가 전문성 자기평가 및 자기성찰 보고서, 설문조사를 통해 과정 중심 평가 기반 평가 전문성 신장 수업에 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결과 예비영어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으로는 자기평가를 비롯한 6개 유형의 과정 중심 평가 방법들을 활용하여 교수·학습과 평가가 학기 내내 유기적으로 연계되도록 하고 학습자 중심 수업 형태로 운영하며 학습자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평가 이론에 대한 이해와 실제 적용 능력을 균형있게 개발시키는 수업 방안으로 설계하였다. 이러한 수업에 대해 예비영어교사들은 자신의 평가 전문성이 다양한 측면에서 변화되고 성장되었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필평가 위주의 결과 중심 평가 기반 수업에 비해 과정 중심 평가 기반 수업은 단순히 시험에 대비한 지식 습득이 아니라, 평가 분야의 지식과 기능, 태도를 균형있게 발달시키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으므로 예비영어교사 대상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 이를 제시하고자 하며, 향후에 관련 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Given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improving the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ssessing ex-pertise, this study was to propose an instruction for improving their assessing expertise through process-based assessment, to conduct the instruction to them, and to examine their perceptions of it.
Method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literature on assessment theory and process-based assessment, an in-struction plan for improving assessing expertise through process-based assessment was devised. This was con-ducted on 20 pre-service English teachers at a university in Seoul in the second semester of 2022,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instruction were analyzed through self-assessment, self-reflection reports, and a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As for the instruction, six types of process-based assessing methods were used to organically link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throughout the semester, to manage the learner-centered class, and to provide them with individual feedback. As a result, the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were found to perceive that their as-sessing expertise was changed and developed in various aspects.
Conclusions This study revealed that compared to the instruction through product-based assessment, focusing on paper-and-pencil tests, the suggested instruction was conducive to developing the prospective teachers’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toward the assessment field.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the instruction through process-based assessment could be a way to enhance prospective English teachers’ assessing ex-pertise and related research should continue to be conducted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