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xploring Change through Pre-service History Teachers' Experiences with Textbook Reconstru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허은철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539~55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예비역사교사들이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에서 활용할 교재를 재구성하는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를 경험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대한 실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역사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교재 집필을 비롯한 다양한 교육 활동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예비역사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수행하였다. 면담 내용은 Hatch가 질적 분석방법으로 제시한 귀납적 및 해석적 방법을 병행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예비역사교사들이 자율적으로 재구성하여 집필한 1차 및 2차 교재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예비역사교사들의 교재 재구성 경험은 크게 다섯 가지 측면에서 의미 있는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교재관’이 절대적 관점에서 상대적 관점으로 변화했다. 둘째, ‘교재 구성 능력’이 중구난방식에서 구슬꿰기식으로 변화했다. 셋째, ‘교재 구성 기반’이 교육내용 기반에서 교육현장 기반으로 변화했다. 넷째, ‘교재 구성 초점’이 교수자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했다. 다섯째, ‘교재 구성 안목’이 학생의 눈에서 교사의 눈으로 변화했다.
결론 이를 토대로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신장을 지원하기 위한 교육과정의 양적·질적 개선과 발전이 필요함을 제안하였고, 그를 위한 상위기관 차원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how pre-service history teachers experienced changes in the process of reconstructing textbooks to be used in a extra-curriculum and to make practical suggestions for future teacher training curriculum.
Method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re-service history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history education program and conducted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ing writing textbooks. The interviews were analyzed using a combination of inductive and interpretive methods proposed by Hatch as qualitative methods. In addition, the primary and secondary textbooks authored by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pre-service history teachers' experience of reorganizing text-books made meaningful changes in five main aspects. First, the “textbook view” changed from an absolute per-spective to a relative perspective. Second, the “textbook organization ability” changed from a incoherent method to a coherent method. Third, the “basis for organizing materials” changed from content-based to site-based. Fourth, the “focus of material construction” has changed from instructor-centered to learner-centered. Fifth, the “eye of material organization” has changed from the student's eye to the teacher's eye.
Conclusions Based on this,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proposed the need for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to support the professionalism of pre-service teachers, and emphasized the need for institutional support at the higher institution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