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The Mediating Effects of Fear of Negative/Positive Evaluation and Self-Compass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슬기 박기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507~52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를 각각 매개하여 자기은폐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가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이중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내면화된 수치심 척도, 자기은폐 척도, 단축형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한국판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척도,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SPSS 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 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하였으며, SPSS PROCESS Macro Model 4, 6을 활용하여 단순매개효과와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서로 정적 상관을, 자기자비는 모든 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의 관계에서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자기자비의 단순매개효과가 각각 검증되었다. 다음으로 내면화된 수치심이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를 순차적으로 매개해 자기은폐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이중매개효과가 검증되었으나, 내면화된 수치심과 자기은폐 간 긍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 자기자비의 이중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자기은폐에 영향을 미치는 내적 요인들에 대한 이해를 확장하고,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내면화된 수치심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지닌 사람들의 자기은폐 행동을 감소시키는 데 자기자비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시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 of fear of negative / positive evalua-tion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Methods A total of 426 adults completed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Internalized Shame Scale, Self-Concealment Scale, Brief-Fear of Negative Evaluation Scale, Korean Version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Scale, Korean version of the Self-Compassion Scale.
Results Fir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among internalized shame, self-conceal-ment and fear of negative / positive evaluation, while self-compassion showe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other variables. Seco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elf-compassion had simple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Thir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self-compassion had a sequential du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However, a dual mediating effect of fear of positive evaluation and self-compa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alized shame and self-concealment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self-compassion have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self-concealment behavior.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