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ime Perspectives on Posttraumatic Growth in (Under) Graduate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양슬기 박기환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381~39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경험자의 시간관의 5가지 하위요인(과거긍정적 시간관, 과거부정적 시간관, 현재 쾌락적 시간관, 현재 운명적 시간관, 미래지향적 시간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3가지 스트레스 대처전략(사회적 지지추구 대처, 문제해결 중심 대처, 회피 중심 대처)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외상 사건을 경험한 대학생 및 대학원생 303명(여성 215명, 남성 88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외상경험질문지, 한국판 Zimbardo 시간관 척도(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K-ZTPI), 한국판 스트레스 대처전략 척도(Coping Strategy Indicator: CSI),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를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는 과거 긍정, 과거 부정, 현재 쾌락적 시간관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둘째, 문제해결 중심 대처는 현재 쾌락적 시간관을 제외한 모든 시간관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셋째, 회피 중심 대처는 모든 시간관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외상경험자들의 시간관의 유형에 따라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유형이 달라질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역할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차별적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회피 중심 대처는 시간관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의미있는 매개적 역할을 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시간관의 유형에 따라 사회적 지지 추구 대처 혹은 문제해결 중심 대처를 적용하는 것을 통해 외상 후 성장이 촉진된다는 점에서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유형이 중요한 매개변인임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e present study, we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hree stress coping strategies(seeking social support, problem-solving coping, and avoidance cop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ve factors of the time perspectives(past-positive time perspective(PP), past negative time-perspective(PN), present hedonistic time perspective(PH), present fatalistic time perspective(PF), future time perspective(F) and PTG in (under) grad-uate students with trauma.
Methods The self-report questionnaires including Traumatic Events Questionnaire,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ZTPI), Coping Strategy Indicator(CSI),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PTGI) were administered to 303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215 women and 88 men).
Results First, the coping strategy of seeking social support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st-positive, past-negative, present hedonistic time perspective and PTG respectively. Second, problem-solving coping strat-egy showe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between all time perspectives except for the present hedonistic time perspective and PTG. Finally, there were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avoidance cop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erspectives and PTG.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the role of seeking social support and problem-solving coping strategies is important in the effect of time perspective on post-traumatic growth, and it should be the fo-cus of clinical interven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