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Model for Teachers in Early Childhoo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은정 이혜민 이정훈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365~37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형을 개발하는 것으로 향후 유아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정보 및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 요구되는 유아교사의 교육 훈련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해 문헌 연구 분석 및 3차례의 델파이 조사와 연구진과 전문가 협의회의 상호 검증 과정을 통해 4개의 상위역량, 9개의 하위역량으로 구성된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형을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도출한 유아교사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 모형의 상위역량은 디지털 시민의식, 디지털 사고역량, 디지털 활용 및 창작 역량, 디지털 수업 역량을 포함하고 있다. 디지털 시민의식의 하위역량으로는 디지털 규범 준수, 디지털 책임의식이 디지털 사고역량의 하위역량으로는 디지털 비판적 사고능력, 디지털 문제해결 능력이, 디지털 활용 및 창작 역량의 하위역량은 디지털 기술 활용 능력, 디지털 창작 능력이, 마지막으로 디지털 수업 역량의 하위역량은 디지털 수업 설계 능력, 디지털 수업 실행 능력, 디지털 수업 성찰 능력이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초 디지털 시대의 교육현장에서 유아교사가 반드시 갖추어야 하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 훈련 체계를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model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for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ethods To this end, literature review, 3 rounds of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he research team and an expert advisory committee executed mutual validation at the end of each delphi survey to ensure objectivity and validity.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a digital literacy competency model for teachers in early childhood was derived, consisting of four main competencies and nine sub-competencies. The main competencies include digital cit-izenship consciousness, digital thinking competency, digital utilization and creation competency, and digital teaching competency. The sub-competencies for digital citizenship consciousness include compliance with digi-tal norms and digital responsibility consciousness, while sub-competencies for digital thinking competency in-clude digital critical thinking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The sub-competencies for digital utilization and crea-tion competency include digital technology utilization and digital creation abilities. Finally, the sub-competencies for digital teaching competency include digital teaching design ability, digital teaching execution ability, and digital teaching reflection abilit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an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can be estab-lished to cultivate digital literacy competencies that teachers in early childhood must possess in the educational field of the digital era.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및 절차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