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current status of AI-related curriculum offerings and the experiences of current teachers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최춘영 유명은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281~29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현황을 분석하고,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경험을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을 개설한 전국 유아교육과가 설립된 대학교 61곳의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인공지능 교육 경험이 있는 현직교사 7명과의 심층면담을 나선형 자료 분석방법으로 이들의 경험을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인공지능 관련 교과목 개설 현황으로 4년제 대학교는 49개 교과목이, 3(2)년제 대학교는 45개 교과목이 개설이 되었다. 4년제 대학교와 3(2)년제 대학교 모두 1학년 1학기에 가장 많이 개설되었고 4년제 대학교는 전공 3학점으로 개설된 교과목이 많은 반면, 3(2)년제 대학교는 2학점 교양으로 개설된 교과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경험에서는 인공지능교육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불안과 부정적인 시선 거두기, 인공지능교육과 만나고 놀이하기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 인공지능교육 실행에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AI-related curriculum offered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explored the experiments of current teachers regarding AI education.
Methods To achieve this, the study analyzed the websites of 61 universities with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at had established AI-related curriculum, frequency and percentages were calculated. Additionall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seven current teachers who had experience with AI education, using a qualitative data analysis approach to examine their experienc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current status of AI-related curriculum in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49 courses were offered in four-year universities, and 45 courses were offered in three-year(or two-year) colleges. Both four-year universities and three-year(or two-year) col-leges offered the highest number of courses in the first semester of the first year. While four-year universities offered courses with major studies worth three credits, three-year(or two-year) colleges had more courses with general education worth two credits. Secondly, from the perspective of current teachers' experiences with AI ed-ucation, the study identified how current teachers get rid of a sense of vague apprehension, anxiety and negative perceptions, and specified the experiences of engaging with AI education through play.
Conclusions This study contributes foundational data for the implementation of AI education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program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