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online self-expos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오수빈 이은희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179~19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성인초기의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이 미치는 영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연구 하기위해 경상남도 소재 20~39세의 352명을 대상으로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의 매개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를 이용하여 기술통계, 신뢰도 분석,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SPSS Process Macro (MODEL 4)를 통해 내현적 자기애가 SNS 중독경향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결과 이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온라인 자기노출은 서로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내현적 자기애가 온라인 자기노출을 경유해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내현적 자기애를 가진 사람은 타인의 관심과 주목을 불편해하고 이는 현실 도피 수단으로 SNS에 의존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때 현실세계보다는 온라인상에서의 자기노출을 통해 부정적인 자기모습을 회피하고 대인관계에 편안함을 느껴 SNS 중독경향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를 토대로 높은 내현적 자기애의 경향을 지닌 사람들은 SNS 상에서 온라인 자기노출이 매개하여 SNS 중독경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음으로 다양한 관점에서 치료계획을 수립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online self-expos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mplici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in the early adult was confirmed.
Methods To study this, a mediating effect analysis was conducted on 352 people aged 20 to 39 in Gyeongsangnam-do to measure the mediating model of online self-exposur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tendency.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and SPSS Process Macro (MODEL 4)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online self-exposure in the impact of Covert narcissism on SNS addiction tendency.
Results The research results on this are as follows. First, covert narcissism, SNS addiction tendency, and online self-exposu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covert narcissism can affect SNS addiction tendency through online self-exposure. Specifically, people with Covert narcissism are un-comfortable with the interest and attention of others, which increases the likelihood of relying on SNS as a means of escaping reality. At this time, it was found that SNS addiction tends to increase by avoiding negative self-ef-fects and feeling comfortabl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online self-exposure rather than in the real world.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online self-exposure on SNS affects SNS addiction ten-dency, suggesting that treatmen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from various perspect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