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Effects of Electronic Portfolios on EF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ttitudes
이용수 43
- 영문명
- The Effects of Electronic Portfolios on EF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ttitud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선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3호, 49~62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2.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과정 중심 교수 학습 방법인 e-포트폴리오의 활용이 한국 EFL 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역량과 자기주도적 학습 능력 함양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서, 실험집단은 15주간 5번의 e-포트폴리오 세션에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은 본인의 영어 말하기 수행이 녹화된 디지털 비디오를 시청하며 자가평가를 실시하고, 교사의 평가를 받았다. 학생들은 말하기 디지털 비디오 파일, 자가평가 및 교사평가 문서파일을 웹폴더에 수집하여 e-포트폴리오를 구성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의 학생들은 본인의 영어 말하기 수행에 대해 교사의 평가만을 받았다. 사전-사후 영어 말하기 테스트와 사전-사후 설문에 참여한 104명의 학생들의 자료가 분석되었다.
결과 e-포트폴리오는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말하기 유창성과 적절성 측면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향상도를 보여주었고, 이러한 결과는 상위 및 하위 모든 학습자들에게 나타났다. 또한, e-포트폴리오는 하위학습자들의 영어 말하기에 대한 흥미, 자신감, 동기, 상위인지전략 사용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실험집단 93%의 학생들이 영어 수업에서 말하기 e-포트폴리오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지금까지 한국 EFL 상황에서 연구가 부족했던 영어 말하기 영역에 포트폴리오를 적용한 실험연구로써 선행연구를 확장하며, e-포트폴리오가 학생들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 및 자기주도적 학습 태도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아울러, 자가평가에서 원어민의 말하기 샘플을 제공하여 원어민과 비교하면서 평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보다 구체적인 자가평가 문항 작성을 통한 평가의 정확성 향상 등의 학생들의 개선안은 향후 영어 말하기 e-포트폴리오의 효과적인 적용을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portfolios, a learner-centered approach to teaching and learning, on Korean EFL students’ speaking proficiency and attitudes toward speaking, which may help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s.
Methods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e-portfolio sessions five times over 15 weeks; they used their web folders to collect digital videos of their speaking performance, self-assessments, and teacher assessments. The control group was evaluated solely by a teacher. The data from 104 participants who completed the pre- and post-speaking tests and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s were analyzed.
Results The analyses revealed that the e-portfolio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English-speaking abilities. Specifically,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improvements in fluency and appropriatenes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and these results were observed among both high- and low-proficiency students. Furthermore, the e-portfolio ha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low-proficiency students’ interest, con-fidence, motivation, and use of metacognitive strategies in speaking English. Additionally, 93% of the students indicated that using the speaking e-portfolio in English classes was desirable.
Conclusions Given that most studies on portfolios are limited to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in the Korean EFL context, this study expands previous research by applying portfolios to the area of speak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portfolios can be an effective tool for enhancing students’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and fostering self-regulated learning attitudes. Additionally, students’ suggestions, such as providing them with speaking samples from native speakers for self-assessment, as well as developing more specific self-assessment questionnaire items, offer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speaking e-portfolio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Review of the Literature
Ⅲ. Methods
Ⅳ. Results and Discussion
Ⅴ. Conclusion and Suggestions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