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K-pop 노랫말들의 언어 혼종

이용수 30

영문명
K-pop Lyrics’ Language Hybridization: Use of English Varieties and Code-switching
발행기관
이중언어학회
저자명
박준언
간행물 정보
『이중언어학』제61호, 95~124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12.31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d K-pop song texts in terms of language hybridization. The findings show that language hybridization proceeds in two ways: incorporating different varieties of English and code-switches between Korean and English. Different English varieties such as standard colloquial English, African American Vernacular English, and Koreanized English are used in K-pop song texts. Also, code-switches are the significant mode of language use in all the K-pop song texts analyzed for the research. K-pop lyrical texts maximize Korean and English bilingual resources to appeal not only to the local Korean audience but to the global fans. In the language hybridization processes, English varieties and Korean/English code-switches are utilized as effective resources in striking a balance between the locality and the globality of the K-pop songs.

목차

1. 서론
2. 글로컬화(glocalization) 개념 및 K-pop의 글로컬화
3. 분석자료 및 분석 방법
4. K-pop 노랫말의 영어 변이형 혼용
5. K-pop 노랫말 코드전환의 사회언어학적 기능
6. 맺음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준언. (2015).K-pop 노랫말들의 언어 혼종. 이중언어학, (), 95-124

MLA

박준언. "K-pop 노랫말들의 언어 혼종." 이중언어학, (2015): 95-124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