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oes Familiarity in the Use of Digital Platform Government Services Improve Utilization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iarity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임세헌 유현미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41권 제5호, 35~4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0.31
국문 초록
오늘날 정부는 디지털 플랫폼을 활용하여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며, 이에 맞춰 사용자 중심의 디지털 플랫폼 기반 정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다양한 정책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서비스는 국민에게 보다 편리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공익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정보기술의 발전과 함께 사용자 친화성이 강조되어 우수한 서비스 구현이 가능해졌다.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정부 서비스 활성화에 대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사용자 지향적인 인터페이스 친화성에 대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플랫폼 기반 정부 서비스에서 사용자 환경 개선을 위한 생산성 증진 방안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태도이론을 바탕으로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정부서비스 사용자의 심리적 요소를 분석하는 이론적 프레임워크를 개발하였다. 총 200명의 디지털 플랫폼 기반 정부서비스 경험이 있는 참여자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용성 인지, 유용성 인지, 긍정 태도, 지속 이용 의지 사이의 관계와 덧붙여 친화성이 미치는 조절 역할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디지털 플랫폼 기반의 정부서비스의 생산성 개선에 대한 중요한 인사이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oday, the government provides administrative services using digital platforms. Accordingly, the government is striving to develop various policies to provide more user-centered digital platform government services. The digital platform government is creating public interest values for the people. With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oday, user familiarity is being emphasized to implement better services than in the past. Currentl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revitalize the use of digital platform government services, but it is difficult to find a study on the familiarity of interface in terms of user orientation in the context of government provides administrative services. Thus, this study find insights to improve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user environment of digital platform government services.. This study developed a theoretical framework using attitude theory to explain the psychology of using digital platform government service users. Based on this,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usability perception, usefulness perception, positive affection, and willingness ot continuous use , and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face familiarity. In this study, 200 data were obtained for people who have used digital platform government services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usefu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digital platform government servi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연구가설
Ⅲ. 측정 및 조사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