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Lower Body Type Classification for Designing School Uniform Pants of Obese Male High-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국회학회
- 저자명
- 구미란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세계』제5권 6호, 257~27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남자고등학생의 교복바지에 대한 착용만족도를 높이고 맞음새가 좋은 교복바지의 패턴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 연구는 사이즈코리아(2015)의 직접 측정 데이터 중 BMI 지수가 18.5이상인 17~19세 남자 745명의 데이터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비만 남자고등학생의 체형분류를 위하여 표준체형과의 신체치수 비교를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비만 남자고등학생의 체형분류를 위한 요인분석, 군집분석, 분산분석 등의 통계방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비만 남자고등학생의 체형분류 요인으로는 하반신 부피요인, 하반신 길이요인, 복부 부피요인, 밑위 길이요인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 군집분석의 결과로 4가지의 비만체형 유형이 분류되었다. 유형1은 분류된 비만체형 유형 중 하반신의 길이가 가장 짧고 왜소한 비만체형이며 유형2는 비만 유형 중 허리둘레가 가늘고 복부의 부피가 작아 약간 왜소한 비만체형이다. 유형3은 하반신 길이는 보통 이상이며, 하지와 하반신 둘레, 복부의 부피 등의 모든 항목에서 가장 큰 값을 보여 부피가 큰 고도 비만체형이다. 유형4는 4가지 비만 유형 중 하반신 길이는 가장 길고, 복부의 비만 정도가 유독 큰 복부 비만체형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비만 체형의 특징을 반영한 교복바지의 설계방법에 대한 후속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obese male high school students wearing school uniform pants and developing patterns for school uniform pants with good fitting.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four factors were derived as body type classification factors for obese male high school students: lower body volume factor, lower body length factor, abdominal volume factor, and lower body length fact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it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Type 1 is the shortest and dwarfed obesity type among the classified obesity types, and Type 2 is a slightly dwarf obesity type with a thin waist circumference and a small abdominal volume. Type 3 is more than normal in length of the lower body, and it is a highly obese type with the largest value in all items such as the lower extremities, lower body circumference, and volume of the abdomen. Type 4 can be defined as the abdominal obesity type, which has the longest lower body length among the four obesity types and has a particularly large degree of obesity in the abdome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및 분석개요
Ⅲ. 결과 및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