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Adolescents’ School Adjustment on Relationships among Emotional Problems,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주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1023~103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중학교 3학년 시기의 정서문제가 1년 후 고등학교 1학년 시기의 진로정체감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정서문제와 진로정체감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KCYPS) 2010 초4패널의 6-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연구대상자는 총 1,923명(남 1,012명, 여 911명)이었다. SPSS 21.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 상관관계 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SEM)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정서문제는 학교적응 및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학교적응은 진로정체감 및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정서문제와 진로정체감의 관계에서 학교적응은 완전매개를 하였다. 셋째, 정서문제는 학교적응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고등학생이 자신의 진로정체감을 성립해가고 삶에 대한 만족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중학교 3학년 시기에 건강한 정서를 유지하고 진학한 학교에서의 적응을 도와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진로정체감과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인 제언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d to which adolescents' emotion problems influenced their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chool adjustment.
Methods The data were drawn from the sixth (T1, 3rd in middle school) and seventh (T2, 1st in high school) waves of the 2010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A total of 1,923 adolescents (boys, n=1,012; girls, n=911)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using SPSS 21.0 and AMOS 18.0.
Results First, emotional problems had totally indirect effect on career identity sequentially through school adjustment. When third-year middle school adolescents have higher levels of emotional problems, they tended to have lower levels of school adjustment, which, in turn, led to less career identity after 1 year. Second, emotional problems indirectly influenced life satisfaction through school adjustment. That is, as adolescent’s emotional problems increased, their school adjustment decreased, finally leading to lower levels of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ese results add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chanism linking adolescent’s emotional problems to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and especial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chool adjustment. These findings can serve a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for promoting adolescent’s career identity and life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