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iveness of a clinical trial research course using the team project-based learning for nursing student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혜자 김선기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587~60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기반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역할에 대한 학습 모듈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고자 시도되었다. 교육의 효과는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역할인식, 인지된 성취도,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자기성찰 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자는 2022년 9월부터 10월까지 P시의 간호대학생 3학년 학생 중 임상시험연구 전공선택 교과목을 수강신청하고, 본 연구에 동의한 13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4개의 소그룹으로 나뉘어 임상실습, 토론, 자기성찰, 포트폴리오 작성 및 발표로 구성된 8개 세션의 팀프로젝트 기반 임상시험연구 과정을 수료하였다. 임상시험연구 효과는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역할인식도구로 확인하였고, 수업이후 인지된 성취도,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성찰일지를 분석하였다. 지료분석은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임상시험코디네이터의 역할인식의 차이분석은 정규성이 만족되지 않아 대응 표본 t-검증의 비모수검정인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이용하였으며, 중요도-수행도 분석을 위해 IPA분석을 이용하였다.
결과 임상시험연구 교과목 운영 전⋅후 임상시험코디네이터의 역할인식 차이분석 결과, 수행도에서 임상시험코디네이터의 프로토콜 사정(z=-2.59, p=.010)과 프로토콜 계획(z=-1.96, p=.050) 인식이 높아졌고, 중요도에서 피험자 모집의 (z=-2.16, p=.031)에 대한 인식이 교과목 운영 전에 비해 높아졌다. 임상시험코디네이터의 전문직 역할인식은 수업 후 증가한 것(z=-2.25, p=.025)으로 나타났다.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역할의 중요도-수행도를 분석한 결과 8개 하위영역 모두 1사분면(현상유지분면)에 위치하여 학습자는 임상시험코디네이터의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실제로도 잘 수행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임상시험연구 교과목 운영 후 인지된 성취도는 5점 만점에 4.96점, 협력적 자기효능감은 5점 만점에 4.37점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는 팀 프로젝트 기반 임상시험연구 교육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수업 이후 간호대학생의 임상시험코디네이터 역할인식이 향상되어 간호교육의 긍정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추후 임상시험연구 분야에서 간호전문직 역할 확대 및 심화된 교과목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Project-based learning engages students in practical activities related to course contents and has been demonstrated to improve academic performance. Nurses play a particularly important role in promoting clinical trial research as a new professional workforce. An entry-leveled educational course was developed to learn the future professional workforce roles in clinical trial research for nursing students.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a clinical trial research course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clinical research coordinators' role, students' recognized achievement,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Methods Five professional clinical coordinators and two nursing professors developed the four projects on the clinical research processes and roles based on Goo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irteen junior students divided into 4 small groups completed a new project-based clinical research course composed of 8 sessions of clinical field work, discussion, reflection, portfolio, and presentation from September to October 2022. Students responded questionnaires on the importance-performance clinical trial nurses' roles, recognized achievement,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and reported the reflective journal on the class. The students' class evaluation data was retrieved and analyzed using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nd Wilcoxon signed rank test.
Results Compared to baseline scores, protocol assessment (z=-2.59, p=.010), protocol planning (z=-1.96, p=.050), and subject recruitment (z=-2.16, p=.031) increased among the 8-section of clinical trial coordinator's roles. Additionally professional role recognition increased after the class (z=-2.25, p=.025). IPA analysis exhibited that nursing students recognized the 8-section clinical trial nurses' roles as more important and more performing. The mean score of nursing students' recognized achievement was high (4.96 points out of 5 points), and cooperative self-efficacy was high (4.37 points out of 5 points) after completing a clinical trial research course.
Conclusions An entry-leveled educational course on the clinical trial research using project-based learning may expand the possibility of a new professional career for nursing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