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Factors influenc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in the COVID-19 situ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한희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517~531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에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문제를 분석하기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조사(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의 2019년에 조사한 12차 자료와 2020년에 조사한 13차 자료를 분산분석, 대응표본 t검정, 회귀분석 등의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결과 코로나19 이전 시기와 코로나19 시기에 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월평균 사교육비를 대응표본 t검정한 결과를 살펴보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코로나19 시기에 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수준과 월평균 사교육비가 코로나19 이전 시기보다 높았다. 초등학생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학생의 끈기, 삶의 만족도, 학업수행평가, 학습활동 적응과 같은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경감시켰다. 반면에 부모의 성취압력, 월평균 사교육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증가시켰다.
결론 코로나19 시기에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인 제언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variables that affect the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uring the COVID-19 period.
Methods To In order to analyze the research problem, data surveyed the 12th in 2019 and the 13th data surveyed in 2020 of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were used to analyze using analysis methods such as ANOVA, paired-samples t-test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paired-sample t-test analysis of students' academic stress and monthly average private education expenses during the pre-COVID-19 period and during the COVID-19 period, students' academic stress level and average monthly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during the COVID-19 period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before the period before COVID-19.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variables such as student persistence, life satisfaction, academic performance evaluation, and learning activity adaptation significantly reduc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On the other han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monthly average private education expenses increased the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Conclusions We analyzed the variables that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stress during the COVID-19 period, and based on the analyzed results, policy suggestions and follow-up research suggestions were mad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