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velopment Study of Learning Space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Virtual Geographic Fieldwork: Focused on Drone Mapping and Metaverse Technology Appli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지수 황홍섭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393~41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교육의 가상지리답사에서 현장성을 가질 수 있도록 드론 매핑과 메타버스 기술을 적용한 학습공간을 개발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먼저, 가상지리답사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양적⋅질적 분석을 통해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메타버스 학습공간 개발을 위한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도출된 구성요소에 입각하여 가상지리답사를 위한 학습공간의 프로토타입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개발된 프로토타입에 대한 현장교사들의 검증 과정을 통해 수정⋅보완 작업을 진행하여 최종 결과물을 도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드론 매핑을 통해 기존의 3차원 자료보다 질적 수준이 높은 메타버스 학습공간을 개발하기에 용이하였으며, 이는 가상지리답사의 현장성을 높이고 상호작용의 기회를 증가시켜서 미래교육에서 요구하는 자기 주도적 역량을 강화시키고, STEAM 수업의 방안으로도 제시할 수 있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기존의 가상지리답사가 4차 산업기술과 결합하여 더 이상 간접지리답사의 수준에서 머무르지 않고, 차별성을 갖는 교수⋅학습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나아가 학습자들은 현실세계와 비슷한 메타버스 학습공간 속에서 배움을 삶의 터전인 지역과 연계하여 보다 심층적 탐구 역량을 강화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과만의 독창성을 갖는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environment for social studies education that incorporates drone mapping and metaverse technology to enhance the sense of immediacy in virtual geographic fieldwork.
Methods To achieve this, the first step involved conducting a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related to virtual geography exploration to understand the research trends. Following that, the components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metaverse learning environment were derived. Subsequently, a prototype for a learning space designed for virtual geography exploration was developed based on these identified components. Finally, a validation process involving field teachers was used to carry out modifications and enhancements on the developed prototype, resulting in the final product.
Result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drone mapping facilitated the development of a metaverse space with higher qualitative standards compared to conventional 3D data. This enhancement increases the authenticity of virtual geographic fieldwork, augments opportunities for interaction, strengthen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ies required in future education, and provides avenues for integration into STEAM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rts, and Mathematics) curricula.
Conclusions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conventional virtual geographic fieldwork can no longer remain at the level of indirect geographical observation but can evolve into a distinctive teaching and learning approach by integrating with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Furthermore, learners can enhance their deep inquiry capabilities within metaverse spaces resembling the real world, connecting with local contexts for learning and thereby contributing to the uniqueness of social studies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과 구성요소 도출
Ⅲ. 가상지리답사를 위한 메타버스 학습공간의 개발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