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uctur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Parents'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School Adaptation, and Happiness in the COVID-19 Pandemic of Situ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연주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311~32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성취압력과 아동의 스마트폰중독 및 학교적응이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방법 변인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육아정책연구소의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f Korea Children)의 13차(2020년도)년도 데이터 2150명 중 해당 문항에 모두 응답한 629명의 아동과 부모를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으며, SPSS 21.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통하여 통계처리 및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의 스마트폰중독과 아동의 학교적응 및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동의 학교적응이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반면, 아동의 스마트폰중독이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성취압력은 아동의 학교적응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셌째, 부모의 성취압력이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아동의 스마트폰중독과 학교적응의 순차적 이중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행복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교적응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아동의 행복감을 증폭시키기 위해서는 아동의 학교적응력이 가장 지대한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성취압력 완화 및 스마트폰 선용을 위한 각종 상담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aptation on children's happiness.
Methods In order to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13th (2020) data of the Parenting Policy Research Institute's Panel Study of Korea Children was collected from 629 children and parents who answered all of the questions out of 2,150. The data was used in the final analysis, and was statistically processed and analyzed through SPSS 21.0 and Amos 21.0 programs.
Results First, the direct influence of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on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n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nd happines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nd the direct influence of children's school adaptation on happiness was also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influence of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on happiness was found to be insignificant. Second,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was found to have an indirect effect through the mediation of children's school adaptation. Third, in the path wher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ffects children's happiness, a sequent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aptation was found. Lastly, the factor that had the greatest impact on children's happiness was found to be the school adaptation variable.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children's school adaptability has the greatest impact in amplifying children's happiness, and suggest the need to develop various counseling programs to relieve parents' achievement pressure and promote smart phone use to promote children's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