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Analysis of Variables Affecting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정아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283~29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서울교육종단연구(SELS) 2010 자료 중 9차년도 자료인 2018 자료를 이용하여 인문계 고등학생들의 영어 학업성취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개인, 가정환경, 학교생활 측면에서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서울 소재 고등학생 2550명을 대상으로 영어 학업성취도 점수를 종속변수로 설정하고, 독립변수로는 수업태도,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학생 개인 특성의 변인으로 설정하였고, 부모의 자녀 학습 지원,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와의 관계, 부모 자녀 대화 정도를 가정 생활 변인으로 설정하였으며, 학교 만족감과 교우관계를 학교생활 변인으로 설정하여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자기주도학습 능력, 수업태도,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와의 관계 변인은 영어 학업성취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부모의 자녀 학습지원, 부모 자녀 대화정도, 교우관계변인은 영어 학업성취도에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표준화계수 베타 값을 살펴보면, 자기주도학습과 수업 태도가 영어 학업성취도의 가장 큰 예측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가정의 정서적 친밀도가 부모의 자녀 학습지원보다 영어 학업성취도에 있어 학생들에게 더 필요한 정서적 지원임이 드러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자기결정성 이론의 실증적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즉, 부모의 정서적 지지는 학생의 자율성 증가로 이어지고, 이는 자기주도학습 능력 향상과 올바른 학업 태도로 이어져 궁극적으로 높은 학업성취에 이르게 된다. 그러므로 부모가 자녀를 대할 때 신뢰와 지지를 통해 자율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영어 학업성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the variables tha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high school students'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from the aspects of individual, home environment, and school life using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2010 data.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scores of 2,550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were set as the dependent variable.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attitude in clas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parents’ support for learning, parent-child relationship, the frequency level of parents-child dialogue, the degree of school satisfaction, and friends relationship.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tracted from the student questionnaire. A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As for the main research results,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ttitude in class, parent-child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while parents’ support for learning, the frequency level of parents-child dialogue, and friends relationship showed negative relationships with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The ability of self-directed learning and attitude in class appeared to be the biggest predictors of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emotional intimacy at home is more crucial support for students than parental support for children's learning.
Conclusion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e practical proof of Self-determination Theory(SDT). It is interpreted that parents’ emotional support for their children can lead to the improvement of self determination ability, and it leads to self-directed study ability and proper attitude in class. Eventually it leads to high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