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chool morning physical activity research trends and challeng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소현 박재정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3권 22호, 177~194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에서는 학교 내 아침체육활동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과제를 탐색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국내 학술 전문 검색 사이트인 ‘RISS(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통해 2010년부터 2021년까지 ‘아침체육활동, 0교시 체육, 아침 운동’을 주제어로 한 국내 학술논문 26편과 학위논문 42편을 더한 68편의 연구물을 최종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문헌은 아침체육활동 연구 현황(출판연도,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아침체육활동 프로그램(운영 종목, 운영 기간, 운영 횟수, 운영 시간), 아침체육활동 효과(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심동적 효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아침체육활동 연구 현황에 있어서 출판연도는 2013년(11편), 2015년(11편)에 연구가 가장 많이 실시되었고, 연구 대상은 초등학생(33편), 고등학생(15편), 중학생(12편), 교사(4편) 순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양적연구(52편), 질적연구(12편), 혼합연구(4편) 순이었다. 아침체육활동 프로그램에 있어서 운영 종목은 단일 종목보다는 여러 종목을 혼합하여 편성한 경우가 많았고, 운영 기간은 12주(10편)가 가장 많았다. 운영 횟수는 1주일에 5회(12편), 3회(9편), 2회(8편) 순이었고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경우도 있었다. 운영 시간은 1회에 40분(18편), 30분(11편), 50분(5편), 60분(5편) 순이었다. 아침체육활동의 효과에 있어서는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집중력 관련 인지적 효과(21편), 인성 및 태도, 교우관계 관련 정의적 효과(42편), 그리고 건강과 체력 관련 심동적 효과(20편)로 구분되었다.
결론 향후 연구에 관한 과제로는 연구 대상의 다양화, 연구의 편향성 극복, 그리고 연구의 전문성 및 체계성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morning physical activities within schools and to explore the challenge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Methods 68 studies were selected as the final research targets by searching the domestic academic database ‘RISS’ from 2010 to 2021, under the theme of “Morning Sports Activities, 0 Period Physical Education, and Morning Exercise.” These include 26 domestic academic papers and 42 dissertations. The final selected document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research status of morning sports activities (publishment year,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morning sports activity program (operational event, period, number of operations, operating time), and morning sports activity effect (cognitive effect, affective effect, psychodynamic effect).
Results In the research status of morning physical activities, the publication years with the highest research activity were 2013 (11 studies) and 2015 (11 studies). The study subjects were primarily elementary students (33 studies), followed by high school students (15 studies), middle school students (12 studies), and teachers (4 studies). In terms of research methods, quantitative research (52 studies) was the most common, followed by qualitative research (12 studies) and mixed-methods research (4 studies). Regarding morning physical activity programs, many programs incorporated a mix of activities rather than single activities, with a duration of 12 weeks being the most common (10 studies). The frequency of activity sessions per week included 5 sessions (12 studies), 3 sessions (9 studies), 2 sessions (8 studies), and some cases of voluntary participation. The duration of each activity session was often 40 minutes (18 studies), followed by 30 minutes (11 studies), 50 minutes (5 studies), and 60 minutes (5 studies). In terms of the effects of morning physical activities, they were categorized into cognitive effects related to academic achievement and concentration (21 studies), affective and attitude-related effects, as well as interpersonal relationship-related effects (42 studies), and physical health and fitness-related effects (20 studies).
Conclusions Future research challenges were proposed, including diversifying the research subjects, overcoming research biases, and enhancing the expertise and systematic nature of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